승용차 특소세 인하 방침이 난항 끝에 11일 국회재경위에서 전격 결정됨에 따라 그동안 좥겨울잠'을 잤던 자동차 내수 판매가 급피치를 올리게 됐다.
여야가 승용차 특소세를 인하키로 함에 따라 차업계 각 영업소에는 문의전화가 빗발치고 있으며 3일 정부 방침 발표 이후 뚝 끊겼던 신규 계약도 줄을 있고 있다.
업체별로 수천~1만여대에 이르는 출고대기 차량에 더해 향후 신규수요도 큰 폭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여 고객간 출고 전쟁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대다수 차량의 출고대기일이 길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일부 인기 차종은 한달 이상 기다려야 할 상황이어서 자칫하면 이달로 끝나는 판촉 혜택을 못 받을 수 있는 만큼 소비자들은 계약을 서두르는 것이 좋다.
차업계에서는 이번 개편안 통과가 내수 부진에 '단비'가 될 것으로 보고 크게 반기고 있으며 올해만 6만여대에 가까운 추가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번 조치로 소형차는 17만~25만원, 대형차(2천㏄ 초과)는 115만~256만원 가량 가격이 각각 내려가며 수입차의 경우 많게는 1천만원 가까이 가격이 떨어진다.
한편 "1천만원 넘는 PDP-TV를 2만원 깎아준다고 내수가 살아나겠습니까. 좀더 현실성있게 가전제품 특소세가 인하 돼야 소비시장 활성화를 기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
특소세 인하가 적용되는 12일 특수를 기대하며 본격 판촉전에 돌입한 자동차업계와는 달리 가전업계는 울상을 보이고 있다.
국내 최대 가전업체인 S사의 지사와 대리점 관계자들은 그동안의 가격인하 기대심리는 해소됐지만 실질적인 판매엔 별로 도움이 될 것 같지 않다고 말하고 있다.
특소세 인하방침이 나온 7월초부터 소비자들의 발길이 급격히 줄어 재고가 쌓인데 비해 세율인하폭이 너무 낮다는 입장이다.
에어컨의 경우 20일전까지 올 판매목표량을 소진시켜야 되지만 성수기에 장마가 겹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소세율이 20%서 16%로 내려 약간의 도움이 될지 몰라도 매기자체가 실종돼 내수확대 효과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당초 10%의 특소세율이 8%로 내린 프로젝션 TV와 1%에서 0.8%로 인하한 PDP TV의 경우도 경기침체로 인한 수요감소로 판매증대를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보고 있다.
S사의 지사 관계자는 "올 상반기 전체 가전제품 판매량이 평균 15%정도 줄었는데 특소세 인하 검토후 이와 관련이 없는 제품까지 소비가 감소했다"고 말했다.
다른 가전업체 L사도 "수요 감소로 이미 10~20% 할인판매를 실시하고 있는데 비해 특소세 인하폭이 낮은 것 같다"고 말했다.
또 특소세 인하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만큼 가격을 내려 판매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민병곤기자 minbg@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