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지역현안에 관한 노무현 대통령의 구상이 19일 드러났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DKIST) 설립은 '맑음'이나 한국지하철공사 설립 문제는 '흐림'쪽에 가깝다.
DKIST는 향후 추동력을 얻게 된 반면, 지하철 부채문제는 공사(公社) 설립보다는 국고지원을 확대하는 선에서 추진될 가능성이 높게 됐다.
◇DKIST=노 대통령은 "지금 전국의 각 지역에 크든 작든 하나씩 연구소를 갖고 있으나 대구.경북만 빠져있다"며 DKIST 설립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실제 수도권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대전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광주는 광주과학기술연구원, 강원은 KIST 강릉분원이 있으나 영남권과 제주도에는 국책연구소가 없기 때문이다.
노 대통령은 "대구.경북지역의 과학기술원 설립을 되도록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며 "효율성이 없는데 정치적 배경만 가지고 DKIST를 세울 수는 없는 일이나 효율성이 비슷하다면 적극적으로 지원을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지하철공사=노 대통령은 일단 지하철공사 설립이 "분권에 반(反)한다"는 입장을 개진했다.
그러면서 "지하철공사는 분권화와 자치의 시대에 맞게 (지자체가) 스스로 운영하고 다만 중앙정부가 지원을 더 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노 대통령은 "정부내 깊이있는 토론을 아직까지 못했다.
토론을 하면서 부처 입장도 들어보려고 한다"며 여지를 남겨뒀다.
특히 국회와 건설교통부.기획예산처를 중심으로, 지자체는 지하철 운영을 맡고 건설은 정부가 책임지는 '지하철건설공사' 설립을 추진 중이어서 노 대통령의 '상황파악'이 다소 미흡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공사법안을 발의한 한나라당 박승국 의원이나 국회 법사위원들도 "지자체의 지하철 운영과 건설을 정부에 모두 맡기는 것이 부담이 된다면, 지하철건설공사 설립도 차선이 될 수 있다"는 반응이어서 청와대와 정부.국회간 절충이 이뤄질 가능성은 여전하다.
최재왕.서명수.김태완기자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