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제12차 세계흡연과 건강에 관한 회의에서 세계보건기구 WHO 사무총장 이종욱 박사는 현재 전세계 흡연자 수는 13억으로 추산되고 해마다 490만명이 흡연으로 사망하고 있으며 이 추세를 그대로 두면 2020년에는 흡연자가 17억명, 2030년의 흡연 사망자가 1천만명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특히 가난한 나라의 여성 흡연율 증가를 크게 우려한 바 있다.
금년 5월에도 WHO 총회에서는 '담배규제국제협약'을 통해 담배가격 인상 등 담배 수요를 줄이기 위한 대책과 규제조항을 발표했다.
'담배규제국제협약'을 이끌어 내기 위해 국제회의에 참여해왔던 우리나라에서도 이 협약에 따라 보다 강력한 금연정책을 추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지난 5월24일 김화중 보건복지부 장관이 담배가격 인상계획을 발표한 후 여러 관련 당사자 및 단체간의 찬반 양론이 사회적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담뱃값 인상이 흡연율을 감소시킨다는 것은 캐나다, 미국 등 여러 나라에서 이미 입증된 바 있으며 특히 청소년 흡연율을 낮추는데 있어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도 검증된 바 있다.
청소년의 경우 정해진 용돈으로 비싼 담배를 사는데 어려움도 있고 심리적인 부담도 있어 담배를 피우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세계은행과 WHO의 자료에 의하면 담뱃값이 100% 인상될 경우 담배수요는 20%, 의료수요 역시 23% 감소된다고 하며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담뱃값 1천원 인상 시 성인남자 흡연율은 9.1%, 남자고등학생 흡연율은 9.3% 감소할 것으로 추정하면서 담뱃값 인상이 흡연율 감소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정책으로 보고 있다.
현재 국내 담뱃값은 선진국의 20~25% 수준으로 매우 낮은 편인데 1인당 국민소득을 감안하더라도 우리나라가 선진국보다 훨씬 싸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우리나라 성인남자의 흡연율은 안타깝게도 세계 1위다.
성인 남자 흡연율이 선진국은 대개 30% 이내인데 비해 우리나라는 60.5%이고 청소년 남자 흡연율도 이웃 일본은 8%인데 우리나라는 35%로 매우 심각한 실정이다.
따라서 담뱃값을 인상해서라도 흡연율을 감소시키겠다는 보건복지부의 강력한 의지는 국민건강증진을 위해 금연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새삼 인식케 해준다.
흡연자든 비흡연자든, 아이든 어른이든 흡연이 건강에 미치는 폐해는 잘 알려져 있다.
흡연은 급만성 호흡기질환, 심혈관계 질환, 뇌졸중, 각종 암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일 뿐만 아니라 이 질병들을 치료하기 위한 의료비 부담 또한 심각한 문제이다.
최근에 한국건강관리협회가 주관한 학생건강지도관계자 연수회에 참석한 전국 보건관련 중등교사, 교육청 관계자 등 4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담뱃값 인상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253명 중 담뱃값 인상에 찬성하는 입장이 75%, 반대 의견이 14%로, 찬성하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들은 "담뱃값을 인상했을 경우 한정된 용돈 내에서 담배구입이 어려워지므로 저절로 흡연율이 감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답했으며 "담배를 처음 대하는 연령도 자연스럽게 높아질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매년 우리나라에서 1만8천여명이 흡연으로 인한 암으로 사망한다고 하며 이에 따른 의료비 부담이 연간 6조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 청소년 흡연율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담뱃값 인상은 국민건강증진은 물론 건강보험 재정악화를 해소하는데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그동안 정부와 학계, 보건단체가 금연교육 등 금연캠페인을 적극적으로 전개함으로써 흡연율 감소에 기여하고 있지만 이와 더불어 금연관련 규제강화와 담배가격 인상을 통해 흡연율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면 국민건강증진 뿐만 아니라 국가 발전을 위해서도 매우 의미있는 일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윤은희 건강관리협회 대구시지부 홍보교육과장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