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쇠야, 이곳이 어디냐"?
"예, 함경도 북청이라 하옵니다".
"이곳에 사자가 춤을 잘 춘다는 데 어디있느냐"?
"예, 곧 불러옵죠".
양반과 하인이 걸쭉하게 말을 주고받을 때 사자 두 마리가 등장한다.
언제 보아도 '북청 사자춤'은 걸품이다.
치렁치렁 늘어진 사자 털을 뒤집어쓴 채 두 사람이 척척 호흡을 맞추는 사자춤을 보고 있으면 절로 흥이 쏟아진다.
지난 27일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에서 북청사자놀음이 벌어졌다.
그 전날까지 밀양 백중놀이, 하회별신굿탈놀이, 남사당놀이 등도 그곳에서 공연되었다.
그뿐만 아니다.
문화예술회관에서는 미술전과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 작품전, 연극제, 무용페스티벌 등이 열리고, 유니버시아드 경기장과 최근 문을 연 오페라 하우스에서 연일 문화행사가 각축전을 벌이는 양 이어지고 있다.
오랜만에 대구가 문화의 도시가 된 듯하다.
다른 도시에 비해서 문화예술의 기반이 약한 대구인지라 이만한 분량의 문화행사는 사뭇 수년간의 행사들을 한꺼번에 치른다는 느낌이다.
게다가 행사장마다 적지 않은 관람객들이 모여들고 있어서 문화예술의 계절이 온 것이 아닌가 싶어진다.
유니버시아드라는 국제체육행사가 문화에까지 이렇듯 다양한 파장을 미칠 줄은 몰랐다.
이번 문화행사는 대체로 대중공연물부터 고전물까지, 그리고 수동적인 참관에서부터 적극적인 체험학습까지 다채롭게 이어진다.
나도 초등학생인 우리 아이를 데리고 행사장을 둘러보았는데, 이 녀석의 관심은 나를 웃돈다.
텔레비전이나 컴퓨터 오락밖에 모르는 녀석이 도자기며 목공예, 풍물놀이 현장 속에 들어갔다가 쉬 나오질 않는다.
다른 아이들과 함께 페인팅을 하고 도공이 된 양 물레를 돌리고 또 카메라 앞에서는 영화배우가 된 양 금방 외운 대사를 실감나게 주고받는다.
또한 국채보상공원에서 열리는 '태극기 축제'에서는 오늘날의 태극기와 너무나 흡사한 고려말 범종(梵鐘)의 조각을 볼 수 있었고 회암사 돌계단에 새겨진 '전통 회돌이 태극'문양을 두고 감탄했다.
책으로도 볼 수 있는 것이나 축제장에서 대하는 인상은 분명히 달랐다.
나는 아이와 손을 잡고 나오면서 이런 저런 생각을 해보았다.
한 생활인에게 있어 문화란 무엇일까. 오랜만에 격한 운동을 하고 나면 다음날 몸 곳곳에서 작은 근육들이 비명을 지르는데, 그 까닭은 보통 때는 사용하지 않던 근육을 움직였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문화예술을 관람하고 나면 우리는 어떤 유쾌한 뻐근함을 느끼는데, 이 역시 경제생활 속에만 갇혀 있던 우리가 여느 때 사용하지 않았던 정신을 사용했기 때문이 아닐까. 고른 근육이 강건한 육체를 만들 듯이 문화예술은 우리를 전인격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다.
이미 문화의 도시라는 옛 명성이 사라진 대구가 이런 계기로 문화예술이 활동하게 되기를 바랄 따름이다.
엄창석(소설가)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