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경제의 황폐화는 새삼스런 화두(話頭)가 아니지만 대구상공회의소의 최근 분석은 지역경제가 처하고 있는 현실적 참담함이라는 차원을 넘어 과연 미래 발전의 원동력이 있기나 한 것인지 근본적인 의문을 던져주고 있다.
대구상의가 최근 1990년 이후 대구경제의 주요지표 추이를 분석한 결과 2001년 대구의 GRDP(지역내총생산)는 약 18조5천억원으로 전국의 3.5%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990년 당시 전국 비중 4.0%에 비해 크게 줄어든 수치이며 전국인구 중 대구인구 비율 5.3%와 비교해도 형편없는 성적표다.
이 때문에 대구의 1인당 GRDP는 1995년 약 562만원으로 전국 평균의 70.9%를 기록한 이래 매년 하락, 2001년에는 64.6%로 쪼그라들었다.
경제가 침체를 거듭함에 따라 시민들의 소득도 줄어들어 1993년과 1994년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돌던 대구의 1인당 지방세 부담액은 1995년 전국평균의 98.8%로 떨어졌고 2001년에는 전국평균의 78.9%에 불과했다.
대구 경제의 침체는 금융, 판매전력량, 자동차등록대수, 여행사업체수, 실업률 등 다른 지표에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음은 말할 나위 없다.
수도권과 지방의 경제적 격차는 갈수록 벌어지고 있지만 유독 대구 지역이 그 격차의 맨 밑바닥에서 십수년째 맴돌고 있는 것은 무엇때문인가. 한마디로 섬유경기가 침체하면서 섬유도시인 지역경제가 구심점을 잃었기 때문이다.
그 해답은 섬유 산업을 업 그레이드 시키고 섬유 일변도에서 벗어나 첨단산업 쪽으로 산업구조를 다변화시키는데서 찾아야 한다.
이미 대구시는 '3대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동남권 기술혁신을 위한 R&D(기술개발) 기반구축, 기존산업의 첨단화와 신산업의 육성, 동남권 발전을 위한 중추관리 기능 강화가 그것이다.
그러나 따지고 보면 어느 것 하나 실현성에 의문이 가지 않는 것이 없다.
과연 대구는 10년후에 무엇을 먹고 살 것인가. 유니버시아드 이후 그나마 지역의 활력이 남아있을 때 대구시와 지역민은 지역혁신의 전기 마련에 온 힘을 쏟아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