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사스 공포'
중국 남부에서 발생한 사스가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지구촌을 공포의 도가니로 몰아넣었다.
6월 숙질 때까지 최소한 744명이 사망했고, 전 세계적으로 8천명 이상이 감염됐다.
*이라크전쟁, 후세인 체포
3월 20일 미국이 이라크를 침공했다.
조지 부시 대통령의 종전선언과 함께 12월 후세인 전 이라크대통령도 체포됐지만 개전의 명분이었던 대량살상무기는 발견되지 않았다.
*지구촌 '테러공포' 확산
지구촌은 올 한해도 테러로 몸살을 앓았다.
인도네시아 메리어트 호텔에 대한 폭탄 공격과 터키 수도 이스탄불의 영국 대사관에 대한 공격, 모스크바 내셔널호텔 테러 등이 잇따랐다.
*北 NPT 탈퇴 북핵회담
북한이 1월 10일 핵확산금지조약(NPT)에서 탈퇴한다고 선언해 한반도에 핵 위기가 고조됐다.
북·미 양측은 핵폐기와 불가침조약 체결 중심의 동시행동원칙을 관철하지 못한 채 대립했다.
*중국 유인우주선 발사
10월 중국이 최초의 유인우주선 발사에 성공했다.
60만km의 우주비행을 마치고 귀환, 러시아, 미국에 이어 세 번째 유인우주선 발사 국가로 자리매김했다.
*칸쿤 WTO 각료회의 결렬
지난 9월 칸쿤회의에서는 관세상한선과 농업 보조금 폐지 문제를 놓고 치열한 의견대립을 벌였지만 정부조달 투명성 등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개도국 진영에 의해 협상이 결렬됐다.
*중국 지도부 교체
중국이 차기 주석으로 후진타오(胡錦濤.사진 오른쪽)를 선출, 신세대 지도부에 권력을 이양했다.
공산당 주도의 정치체제를 유지하면서 자유시장경제를 유지해 나갈 것이란 예상을 낳고 있다.
*침팬지 '뇌기능 염색체' 해독
침팬지의 22번 염색체가 해독됐다.
사람의 21번 염색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이 염색체의 염기배열을 해독함으로써 백혈병 등 질환의 원인 규명에 한 걸음 다가서게 됐다.
*지구촌 경제회복 조짐
오랜 침체를 겪은 국제 경제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산업생산과 신규 주택건설은 크게 늘어난 반면 소비자물가는 하락세를 나타내 예상보다 빠른 회복을 보이고 있다.
*살인 폭염 유럽 강타
8월 40℃를 오르내리는 폭염이 유럽을 강타했다.
프랑스에서만 3천여명에 달하는 사망자를 낸 '8월의 학살'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비를 호소하는 미사를 집전하기도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