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世-후손.代-선조에 사용
이제 며칠 안 있으면 우리 민족의 최대 명절인 설날이다.
해마다 이때면 교통체증으로 평소보다 몇시간이 더 걸려도 먼 곳에서 고향을 찾아 모이고, 정결한 음식으로 차례를 지낸 후 조상님들에 대한 이야기로 꽃을 피운다.
또한 어른들에게 세배를 올리고 건강히 오래 오래 사실 것을 당부 드리고 어른들로부터 덕담을 듣기도 한다
그런데 요즘 세대는 조상에 대해서도 잘 모르거니와 성씨의 유래와 우리가 몇대손(代孫)이 되는지도 잘 모르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번 설날에는 가족이 다 모인 가운데 세(世)와 대(代)에 대하여 이야기를 해 주는 것이 어떨까 한다.
모든 성씨에는 시조나 중시조가 있는데 우리가 흔히 시조 어른으로부터 후손을 가리킬 때에는 대(代)라고 말한다.
여기에 대하여 바르게 알아야 할 것이 있다.
세(世)는 아들을 가리켜 2세(世)라고 하듯이 시조(始祖)로부터 아래로 후손을 가리킬 때에는 세(世)를 붙여쓴다.
시조 또는 중시조를 1세(世), 그 아들은 2세(世), 그 손자는 3세(世), 증손은 4세(世)가 된다.
예를 들어 우리 문중의 시조로부터 무슨 자(字), 항렬은 몇 세손(世孫)이 된다.
대(代)는 자기로부터 위로 선조를 가리킬 때에 대(代)를 붙여서 조부는 2대조(代組), 증조부는 3대조(代組)가 되고 그 위로 5대조(代組), 6대조(代組)라고 한다.
세(世)와 대(代)는 함께 쓰이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위에서 아래를 따질 때는 세(世)를 쓰고 아래에서 위를 따질 때는 대(代)를 쓴다.
따라서 자기(自己)는 고조부의 5세손(世孫)이고 고조부는 자기의 4대조(代組)가 된다.
세로 하는 경우 자기는 숫자에 넣어서 계산하고 대로 말하는 경우 자기는 숫자에 포함하지 않는다.
이번 명절에는 조상에 대하여 잘 모르는 후손에게 세(世)와 대(代)에 대하여 확실하게 알려주는 것도 교육의 하나가 아닐까 싶다.
임진식(청송경찰서 경무계장)
*야간 상향 전조등 위험
야간 운전을 하면서 상대 차량의 전조등 불빛에 불쾌감을 느껴본 경험은 누구나 한 번쯤은 있을 것이다.
야간 운전은 주간 운전보다 몇 배의 주의가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야간 운전은 좁은 시야로 인한 돌발 상황에 대해 대처 능력이 주간보다 상당히 떨어진다.
굴곡이 심한 커브길에서 상향등을 켠 차량을 마주칠 때는 잠깐동안 방향 감각을 잃게 되는 것이 그 실례이다.
상향등 불빛으로 인한 불쾌감은 비단 마주 달려오는 차량 뿐이 아니다.
뒤따라 오는 차량이 바싹 다가와 상향등을 켤 때는 그 불빛이 '백미러'와 '사이드미러'에 반사되어 운전에 방해를 준다.
요즘에는 아예 전조등 불빛을 강하게 하거나 개조를 하는 운전자도 많이 있다
개조한 차량들은 하향등 상태에서도 거의 보통 차량의 상향등 효과를 낸다.
물론 빛이 밝고 멀리까지 나가는 전조등을 켜고 운전하면 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운전이 편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이와 같이 '나만 편하면 된다'는 이기적인 생각으로 운전을 한다면 내가 편해지는 만큼 상대 차량 운전자가 힘들어지고, 더 나아가 자신은 물론 타인의 귀중한 생명까지 잃게 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하여 전조등 조작 및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
최명식(남원소방서)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