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17대 총선 후보 공천 방식과 관련, 일반 국민들이 참여하는 경선제를 채택하지 않으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당 안팎의 반발과 함께 '반개혁공천'이라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한나라당은 16일까지 연장된 공천신청이 마감되는대로 이들 신청자를 대상으로 여의도연구소 주관의 여론조사를 실시, 그 결과를 토대로 낙점.경선 등 대상을 결정한다는 방침이지만 경선 대상 지역을 최대한 줄일 것으로 알려졌다.
전국적으로 40군데는 넘지 않는다고 한다.
그렇게 되면 대구.경북에서는 경선 대상지가 많아도 10개를 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현역 의원의 아성에 도전장을 내민 예비후보들은 "비록 국민참여 폭을 최대한 늘렸다는 경선 규정이 현 지구당위원장에게 일방적으로 유리한 것이지만 그래도 경선은 반드시 실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대구 북구갑에 공천신청을 한 이명규(李明奎) 전 대구 북구청장은 "경선제의 후유증에 대한 우려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대구.경북의 변화가 한나라당 개혁의 바로미터가 될 것이라는 점에서 가급적 많은 지역에서 경선이 실시돼야 한다"며 "공천신청 마감도 끝나지 않았는데 경선.무경선 지역 이야기가 나온다면 짜고치는 것밖에 안된다"고 지적했다.
대구 달서구갑에 출마 예정인 박영규(朴永圭) 대구.경북 한나라당 정치개혁연대(한개련)공동대표는 "이제 막 걸음마를 시작한 국민참여경선의 싹을 잘라버리려는 것은 정치개혁을 열망하는 국민 염원을 외면하는 것"이라고 경선 실시를 촉구했다.
대구 북구을에 공천 신청을 한 홍동현(洪東鉉) 전 한나라당 대구시지부 사무처장도 "대구지역에서 참신한 인물로의 인적청산이 전제되지 않는다면 서울.수도권 지역의 한나라당 후보의 승리를 결코 담보 받을 수 없다"며 "현역 국회의원들께서 먼저 민주적 경선에 정정당당히 임할 때"라고 주장했다.
영주에 공천 신청을 한 박성만(朴晟滿) 경북도의회 기획위원장도 "경선제를 도입한 이유가 제왕적 총재, 제왕적 지구당위원장제도의 폐단을 극복하고 국민과 유권자에게 그 권한을 돌려주자는 것인데 경선을 실시하지 않고 낙점하겠다는 것은 시대 흐름에 역행하는 처사"라며 비판했다.
경산.청도에 출마를 준비중인 김성하(金成河) 도의원 역시 경선 필요성을 강조했다.
"평소 지명도나 사회활동 등을 잣대로 낙점한다면 지역에서 발로 뛰며 표밭을 일군 신인들의 기회를 원천적으로 빼앗는 처사밖에 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당 실무자들도 가급적 경선을 많이 실시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박태봉(朴泰鳳) 대구시지부 사무처장은 "경선 후유증을 우려하지만 경선없이 낙점했을 경우 오히려 더 큰 후유증이 있을 것"이라며 "실무자들은 경선이 많은 지역에서 실시돼 개혁 공천의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동관기자 llddk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