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15일 외교통상부 일부 공무원의 '대통령 폄하발언' 파문 등과 관련, 윤영관(尹永寬) 외교장관을 문책성 경질하자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향후 한미관계 훼손을 우려하며 "유신시대에나 있을 법한 인사조치"라고 맹비난한 반면 열린우리당은 윤 장관의 사퇴를 '불가피한 조치'로 평가했다.
이같은 상반된 입장은 16일 열린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 회의에서도 그대로 반영됐다.
▲한나라당=16일 윤 전 장관을 현정부 외교안보분야 최고의 장관으로 꼽으며 "노 대통령의 코드인사가 빚은 외교사의 비극"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홍사덕(洪思德) 원내총무는 "가뜩이나 불연속성을 보이던 한미관계가 이번에 청와대에서 외교통상부 대미외교라인에 대한 생트집 때문에 아주 심각한 상황이 될 것 같다"며 "외교부의 대미라인은 이종석(李鍾奭) NSC(국가안전보장회의) 사무차장을 비롯해 반미그룹이 장악하게 됐다"고 주장했다.
▲민주당=조순형(趙舜衡) 대표는 "이번 일은 NSC 사무처 일부 인사들의 월권행위에서 비롯된 것으로 그쪽에 대해 조치를 해야 하는데 오히려 외교부 장관을 경질한 것은 보통 일이 아니다"고 말했고, 강운태(姜雲太) 사무총장도 "한마디로 국정의 난맥상을 보여준 셈"이라고 했다.
▲열린우리당=윤 장관의 경질에 아쉬워 하면서도 "불가피한 조치"라는 반응을 보였다.
북미라인을 '숭미주의 기득권세력'으로 지칭, 논란을 낳았던 신기남(辛基南) 의원은 "윤 장관은 관료사회의 숲 속에 들어가 노무현 외교 철학을 구현하려고 애써왔다"며 "이번에 대통령의 신임을 재확인하고 분발해주기를 바랐는데 물러나게 돼 안타깝다"고 밝혔다.
이부영(李富榮) 상임중앙위원은 "북핵 문제와 용산기지 이전 등 중요한 현안 앞에서 대미 협상라인이 얼토당토한 발언을 한데 대해 책임을 진 것"이라고 말했다.
▲통일외교통상위원회=한나라당 김종하(金鍾河) 의원은 "이번 사태는 미국을 목표로 한 것 같다.
대통령이 당선 후 반미면 어떻냐고 했는데 아직도 그 사고가 그대로 남아있는 것 같다"며 "대미외교 전반으로 볼 때 국가안보에 중대한 사건이 아닐 수 없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같은 당 조웅규(曺雄奎) 의원도 "정부의 적절치 못한 발언과 유출사건을 계기로 미국통을 갈아치우는 것은 미국과의 동맹은 아랑곳하지 않고 자주외교의 명분만을 굳게 지키자는 것"이라며 우려했다.
그는 특히 "전문가를 갈아버리고 미국과 등져서 북한과 어떻게 하자는 것이냐"며 "이는 한심한 작태이며 국민을 불안으로 몰고 가는 자폭행위"라고 비난했다.
그러나 열린우리당 의원들은 정치공세라고 반박했다.
유재건(柳在乾) 의원은 "애당초 대미파니 민족파니 이런 얘기부터가 잘못이고 이는 대통령 초기부터 기강을 잡아 이런 얘기가 나오지 않게 했어야 했다"며 "이번 대통령의 결단(윤 장관 경질과 외교부 인사)은 어쩔 수 없는 행동"이라고 말했다.
이창복(李昌馥) 의원도 "각료에 대한 임명은 대통령 고유의 권한"이라고 했으나 "다만 일년도 안돼 장관을 경질한 것은 외교의 일관성을 위해서는 바람직 하지 않다"고 말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박상전기자 mikypar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