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2011년까지 조기경보통제기 4대 도입

국방부는 4일 올해부터 2011년까지 2조원을 들여 공중조기경보통제기 4대를 구

입하는 것을 골자로 한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사업추진정책'을 발표했다.

원장헌 국방부 획득정책관은 "한반도 전역에 대한 조기경보 능력을 갖추기 위해

공중조기경보통제기 도입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 면서 "군이 요구하는 성능 충족과

함께 경제성 확보가 요건" 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과거 F-X 사업에서 중요시된 바 있는 한미연합 작전능력은 반영되

지 않는다"고 말했다.

국방부가 내세운 요구성능은 6시간 이상 체공능력과 시속 300노트 이상의 최대

속도, 2만6천500피트 이상의 임무 고도 등이며 전자식 레이더와 반경 370㎞ 탐지거

리확보, 360도 탐지 범위를 갖춰야 한다.

국방부는 지난달 말 도입 공고를 낸데 이어 오는 3월 희망 업체들에게 제안 요

구서를 배부한 뒤 6~7월중 이를 접수, 평가작업을 거쳐 대상장비를 선정할 계획이다.

이 사업에는 프랑스 탈레스사(A320-200),이스라엘 IAI/ELTA사(IL-76,G-550), 미

국의 보잉사(B737-700)와 L3-COM사(A321-200) 등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되며 사업 진

행과정에서 다른 업체들도 가세할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는 8월 부터 3개월간 시험 평가를 실시한뒤 해당 사업체와 협상을 거쳐

11월 기종 결정을 최종 발표할 방침이다.

원 획득정책관은 "계약금으로 충당될 사업비 100억원의 예산을 확보한 상태"라

면서 "국내업체가 총 계약금액의 30% 이상 참여할 수 있도록 해당 사업체와의 계약

에 명문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공중조기경보통제기를 보유·운용중인 국가는 10여개국이다.(서울=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