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龜尾 노사단체, '산업평화 결의문'

청량제(淸凉劑)다.

동의를 보낸다.

노사가 쟁의행위로 까지 치닫는 등 대립의 각(角)을 세우던 산업현장에서 '서로가 배려'하는 모습은 산뜻하다.

구미시 노사 단체와 노동행정을 담당하는 노동부가 '산업평화 정착을 위한 노사화합 결의문'을 발표했다.

4일 채택된 '평화선언문'은 지금까지 개별사업장의 노사가 더러 합의한 적은 있어도 지역단체간에 공동으로 합의를 이끌어 낸 것은 처음이라고 한다.

한국노총 구미시지부, 경북경영자총협회, 구미지방노동사무소가 도출한 노사 합치(合致)는 노사관계 정립의 새로운 전기(轉機)가 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는 이 노사화합의 발표에 따른 상승효과를 기대한다.

서로의 환경을 배려하는 교섭과 협상으로 순기능의 노사관계를 창출했으면 한다.

물론 어느 한쪽의 일방적인 양보가 전제 되어서는 안된다.

노동자의 목소리를 포용하는 자세가 있어야 이 선언의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노동자의 관습적인 요구도 현실 반영등 절제하는 대승적 차원의 용단도 필요한 일이다.

구미지역은 우리나라 경제발전의 견인역할을 소화해내는 중요한 위상을 갖추고 있다.

지난해 수출 200억 달러 위업을 달성했고 4공업단지의 외국기업 입주 활기 등은 전국적인 주목을 받는다.

7만여 명의 근로자들이 국가동력(動力) 창출에 혼신의 노력을 기울이는 지역이다.

우리는 또 구미지역의 노사 선언문이 일자리 창출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는 바람도 있다.

노사간 이견으로 인한 불행한 사태는 생산 저하를 부르고 결국 일자리 감소라는 극한 상황을 거듭한 현상을 지금까지 숱하게 보아 왔다.

사실 생산성을 놓고 보면 일본의 70%선, 미국의 절반정도다.

생산활동이 뒤처지면 경쟁력 위축은 뻔하고 기업의 고용확대는 바랄 수 없다.

이런 지극히 보편적인 상황에 노사 모두가 치열하게 매달리기를 거듭 바란다.

산업평화 정착, 진실로 부끄러운 용어가 아니다.

구미 노사 모두의 발상전환에 수긍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