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이 공천 단계부터 국민의 의사를 반영한다며 일부 지역에 대한 후보 경선을 실시했으나 영입인사가 토박이 후보에게 잇따라 패배하고, 급기야 상향식 공천 기회를 주지 않고 낙점한 후보가 공천을 반납하는 사태가 생기는 등 부작용이 적지 않다.
이에 따라 상향식 공천 무용론이 제기되는가 하면 "공천 개혁은 결국 이상이었다"는 자체 비판의 목소리도 무성하다.
프랑스 파리제8대학교 교수 출신인 이환식(李桓植)씨는 우리당에 영입돼 경선 없이 서울 강남 을에 공천받았으나 1일 공천을 자진 반납했다.
이씨는 "공천 경쟁자들의 경선 기회 박탈에 따른 반발과 사이버 테러 및 인신공격을 감내하기 어려웠다"면서 "경선을 준비해 온 후보에게 총선 출마를 위한 최소한의 기회를 보장해야 한다"며 "그들과 공정한 경선이 이뤄지도록 중앙당이 대책을 강구해달라"고 주문했다.
지난달 8일 김성호(金成鎬) 의원의 탈락을 시작으로 영입 인사 등 본선 경쟁력을 갖춘 후보의 낙마도 줄을 잇고 있다.
지난 주말 대전 서구을 경선에서 참여정부의 검찰개혁을 주도한 박범계 전 청와대 법무비서관이 토착후보에게 밀렸고 최창환 전 이데일리 대표도 서울 은평을 경선에서 고배를 마셨다.
이처럼 공을 들여 영입한 인사들이 '예선'에서 낙마하고 있는 것은 대부분 정치 신인이라 당내 경선 경험이 없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선거인단의 투표율이 저조해 선거인단 성향 파악에 밝은 토박이 후보들이 선거인단의 지지를 선점하고 있는 것도 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우리당 지도부와 대변인실은 그러나 "정치발전을 위해 극복해야 할 일시적 고통일 뿐"이라며 "그렇다고 공천의 민주화를 포기할 수는 없다"고 강행 의지를 밝히고 있다.
최재왕기자 jwcho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