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모방 자살 부추기는 보도 자제해야"

자살 사건에 대한 대대적인 보도가 후속 모방자

살을 증가시키므로 자살 보도 자제를 위한 준칙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자살예방협회(회장 이홍식)와 한국기자협회(회장 이상기)가 11일 서울 세종

문화회관 컨퍼런스홀에서 개최한 심포지엄에서 허태균 한국외국어대 사회대 교수는

'자살 예방과 미디어 역할' 제목의 발제문에서 "유명인사의 자살은 그렇지 않은 사

건에 대한 보도보다 14.3배나 더 후속자살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사실 기사가 소설, TV 드라마, 영화 속 주인공의 자살보다 4.03배

영향을 더 미치며 일반적으로 자살 고려자에게 반복해 깊이 생각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신문이 TV보다 영향력이 높다"고 설명했다.

허 교수는 "자살보도에 대한 준칙을 실시한 여러 나라에서 후속 모방자살의 빈

도를 낮추는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면서 "국민의 알 권리와 언론의 자유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자살이라는 단어와 자살 원인을 기사의 제목으로 쓰지 않을 것 △

자살을 미화하거나 정당화하는 내용을 포함하지 않을 것 △구체적인 자살 방법에 대

한 언급을 피할 것 △자살 원인을 구체적 조사없이 단정적으로 하나만 명시하는 것

을 피할 것 등의 보도준칙을 마련하자"고 제안했다.

이충헌 KBS 의학전문기자는 '미디어의 자살 관련 보도 방법과 태도에 대한 외국

권고안 고찰'이라는 주제로 발표에 나서 △영국 BBC 제작 가이드라인 △독일 신문평

의회 윤리강령 △세계보건기구(WHO) 가이드라인 등에 대해 설명한 뒤 "자살에 대해

보도할 때 도움이 되는 정신보건 서비스를 어디에서 받을 수 있는지, 자살 행동의

경고 징후가 무엇인지 등의 정보를 함께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선진언론에서는 자살사건을 공공성이 있다고 판단할 경우에만, 그것도 유

족의 입장에서 동정적으로 보도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우리 언론이 자살을 시

청률 확보나 상업적 의도로 악용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반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우택 연세대 의대 교수는 '언론과 미디어 기자들을 위한 자살의 이해와 접근'

이라는 제목의 발제문을 통해 △자살에 관한 5가지 오해 △자살 의도를 가진 사람을

미리 알아보는 방법 △자살 직전의 모습 △자살 위험도 단계별 평가 △자살 위험성

의심자에 대한 조치 등을 소개하며 "언론이 자살 예방교육과 관련된 기사들을 정확

하고 풍부하게 싣는 한편 삶에 대한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