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순응하라는 엄청난 壓力 존재"

우리나라의 언론상황이 자유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다는 지적은 언론의 역할과 환경을 다시 뒤돌아 보게 한다.

정보 전달체계의 장애는 결국 수요자의 알 권리 침해요인일 수밖에 없는 현실, 안타까운 일이다.

국제언론인협회(IPI)가 발표한 '세계언론 자유보고서'는 '한국에 언론자유가 존재한다는 한국 정부의 주장은 현실과 동떨어진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고 한다.

이 보고서는 또 한국 언론 자유 침해사례를 들며 한국 언론인과 언론사들은 폭력위협에 처해 있지는 않으나 논란이 있는 주제에 관해서는 특정한 견해와 시각을 채택하라는 압력을 크게 받는다고 했다.

IPI는 언론에 가해지는 압력도 거론하고 있다.

한국에는 '정부정책'에 순응하라는 엄청난 압력이 존재하며 이는 정보의 자유로운 흐름과 위협으로부터의 자유라는 언론인의 권리를 훼손하고 있다고 지적한 것이다.

언론의 첫째 목표는 사회구성원에게 그들이 자유로워지고 자신을 스스로 통제하는데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정보의 자유로운 흐름이 전제다.

정보의 수집과 전달, 수요와 공급 등에 제약요인이 제거된 상태는 국민들이 원한다.

이런 분위기가 흔들릴때 권력과 언론간의 건전한 긴장관계는 허물어지고 불필요한, 균형 깨진 긴장관계로 치닫는다.

역대정부와 언론관계가 그랬었다.

언론의 책임, 외면할 수 없다.

정보공급 작업과정서 공정성의 확보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언론자유추구만큼의 절대 요건이다.

지금 총선을 앞두고 있어 언론환경과 책임이 더욱 주목을 받는다.

정부는 언론침해사례 등 IPI의 지적을 경청할 필요가 있다.

노사모 등 시민활동을 가장한 정치적 활동, 검찰의 압수수색, 노무현 대통령과 이창동 문화관광부장관의 '오보와의 전쟁' 발언 등을 침해사례로 꼽았다.

언론환경개선의 몫은 권력에도 상당부분 책임이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