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년 외환위기 당시와는 전혀 달랐다'. 대통령 탄핵의 후폭풍을 크게 우려했던 한국경제의 단기 성적표다.
우려와는 달리 금융시장이 빠른 속도로 회복한 것이다.
주식시장은 15일 반등에 성공했고 원화는 가치를 잃지 않았다.
대통령 탄핵이 당장 경제에 '쇼크'를 주지 못했다는 증거다.
이같은 안정기조는 바로 한국경제의 성숙도와 연결된다.
물론 대통령 탄핵이 97년 외환위기나 북한 핵위협과는 차원이 다르다.
그러나 비록 내부 갈등요인이지만 국내외에서도 보기 드문 '역사적'인 사건에 흔들림 없이 제자리를 찾았다는 것은 앞으로 한국의 대외 신뢰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것은 정치적 파동에도 불구하고 국민들 모두가 경제활동에서는 '평상심'을 잃지 않았다는 소중한 결과가 아닌가. 특히 정부의 일관된 모습과 경제계의 신속한 뒷받침은 심리적 안정에 크게 기여했다.
이헌재 부총리는 "경제정책에 속도감을 내겠다"고 밝혔고 경제5단체장은 성명을 통해 "국민이 불안해하고 경제적 영향을 걱정하고 있으나 우리는 지속적으로 투자를 확대하고 경제를 활성화할 계획"이라고 강조한 것은 적절한 대응책이었다.
정치적 혼란에 휘둘리지 않음으로써 이제 '경제가 정치를 선도(先導)할 수도 있다'는 좋은 선례를 보여준 것이다.
문제는 실물경제다.
경제전문가들은 일시적으로 금융시장이 안정됐다고 해서 방심은 금물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벌써부터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고 있는 것도 경계해야 한다.
외국의 신용평가회사와 투자은행들은 탄핵 정국이 금융시장과 경제에 즉각적으로 영향을 주기는 어렵지만 장기적으로 성장 능력을 떨어뜨릴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그것은 더 이상의 혼란은 곤란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외환위기를 어떻게 극복해온 한국경제인데 내부 갈등요인이 성장 엔진에 찬물을 끼얹는단 말인가. 이제 우리는 다시 생산성과 경쟁력 향상을 통해 차분히 실물경제를 챙기는 또 다른 성숙된 모습을 보여줘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