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대 총선후보 등록이 오늘로 마감되고 내일부터 열전(熱戰) 13일이다.
그러나 당장 "재선거가 사태(沙汰)나는 것 아니냐" 걱정소리 우수수하고 한쪽에선 벌써부터 재.보선을 겨냥, 이불 뒤집어쓰고 웃는 사람도 적지 않다고 한다.
이는 분명 개혁이란 깃발만 꽂은채 마구잡이로 후보 숫자만 채운 열린우리.한나라.민주 세 정당의 흠집투성이 공천의 결과임을 먼저 지적한다.
공천실패의 결과는 당장 대법원과 선관위.검경의 강공으로 나타난다.
대법원은 이미 당선자중 상대비방(흑색선전) 및 금품 선거사범에겐 벌금 100만원 이상의 '당선무효형'을 선고토록 판사들에게 권고했다.
현재까지의 선거법위반 사건 중 당선무효 가능성이 있는 고발.수사의뢰 건(件)도 300건이나 됐다.
대구.경북지역의 당선무효 '꺼리'도 40건이 넘는다.
강조하거니와 한곳에서 세번 네번 재선거하는 한이 있더라도 이번에 만큼은 부패.불법의 뿌리를 확실하게 뽑아내야 한다.
본게임의 스타트라인에 선 후보들에게 호소한다.
그리고 엄중히 경고한다.
법에 걸리기 때문에 지킨다는 소극적 자세로 국회의원될 마음 먹지말라. 국회의원이 무슨 백수(白手)들의 안식처인가. 그따위 생각이라면 부패의 숨구멍만 보이면 그들은 언제든지 부패할 준비가 돼 있는 사람들이다.
또 하나, 자신이 불법선거로 당선된 후 적발됐을 때를 생각해보라. 당선무효에 따른 당국의 재선거 관리비용은 1개 선거구마다 7억~8억원씩 든다
새로운 후보들의 운동비용은 또 얼마인가? 결국 자기 하나때문에 수십억의 나랏돈이 낭비되는 것이다.
돈만 낭비인가. 선거관리에 투입되는 자치단체들, 경찰, 선관위 그리고 사법당국의 인력과 시간의 낭비는 그야말로 천문학적이다.
합동연설회가 없어지니 후보나 유권자 모두 "선거가 뭐 이래?" "재미 없다"는 얘기가 이구동성임을 알 것이다.
잔치판의 이 재미있는 '메뉴'들이 왜 없어졌을까. 타락과 불법때문에 없어진 것이다.
이 재미 다시 부활시키려면 243개 선거구가 하나같이 거울같은 의지를 보여주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