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전쟁' 상태로 치닫고 있는 이라크 정정과
이를 둘러싼 국군 추가파병 문제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총선의 주요 쟁점으로 부
상할 지 주목된다.
한달 전인 지난 3월14일 스페인 총선에서 예상을 깨고 야당인 사회노동당(PSOE)
이 집권할 수 있었던 배경은 집권 국민당(PP)의 이라크 전쟁 지지로 인해 마드리드
에서 연쇄 폭탄테러가 발생했기 때문이었다.
이는 이라크 사태가 먼 나라 밖 문제가 아니라 국내 정치에 곧바로 영향을 미칠
수있는 민감한 나라 안 문제이기도 하다는 점을 보여준 실증적인 사례여서, 우리 정
치권도 신경을 곤두세우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에 몰리게 됐다.
이라크 이슈는 국내 현안에 묻혀 아직까지 수면 위로 부상하지는 않았지만, 급
박한 이라크 정정과 국군파견 문제가 맞물려 돌아갈 때 예기치 않은 총선 쟁점으로
떠오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당장 민주노총 등 351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이라크 파병반대 비상국민행동은 8
일 기자회견을 갖고 이라크 파병에 찬성했던 의원들을 대상으로 한 낙선운동에 돌입,
이라크 문제에 불을 댕길 태세이다.
비상국민행동측은 "이라크가 제2의 전쟁 양상으로 치닫고 있어 한국군이 어디에
주둔하든 이라크 시민과 한국인들에게 재앙의 불씨가 될 것"이라며 이라크 파병철회
를 주장했다.
민주당 추미애(秋美愛) 선대위원장도 이날 "우리의 진정한 국익과 우리 젊은이
들의 소중한 생명을 위해 이라크 추가 파병문제를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고 밝
혀 이라크 파병문제를 쟁점화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국회의 이라크 추가파병 동의안에 권고적 반대당론을 정했던 민주당은 이라크
파병문제를 지렛대로 적극적인 막판 표심만회에 나서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보인다.
이라크 파병논란은 총선을 이틀 앞두고 이뤄지는 딕 체니 미국 부통령의 방한을
계기로 정점에 달할 전망이고, 한미간 조율내용과 시민단체의 반발정도에 따라서는
총선판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없지않다.
열린우리당에서는 심정적으로 이라크 파병에 반대했던 총선 후보들도 적지 않아
파병논란이 확대된다면 당 전체는 물론 특정후보의 득표전략에 일정 부분 주름을 지
게 할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점쳐진다.
이는 탄핵정국에서 나타난 국민 여론의 공고한 결집력이 이라크 파병문제가 전
면에 불거져 나왔을 경우 그대로 유지될 수 있을지 여부와 맞닿아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번 총선의 양강 구도를 형성하고 있는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 모두 이
라크 추가파병에 찬성했기 때문에, 표심의 대거 이동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이런 가운데 일단 정부는 7일 대통령 권한대행인 고 건(高 建) 총리 주재로 회
의를 열어 국군의 이라크 추가파병 방침에는 변함이 없다는 원칙을 고수했다.
앞서 열린우리당측도 이날 한국 민간인 2명이 이라크 시아파 민병대에 의해 14
시간동안 억류됐다가 풀려났으나, 이라크 추가파병 방침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힌 바
있다.(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