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현장의 '임금지도'가 달라지고 있다.
해만 바뀌면 월급이 올라가는 연공서열형 '호봉제'가 갈수록 자리를 잃고 연봉제 등 '성과주의 임금제도'가 빠른 속도로 그 자리를 대체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기업은 호봉제가 한국적 기업문화에서는 여전히 '유효한 제도'라는 입장을 펴고 있으며 노동계도 성과주의 임금이 기업내 협업관계를 약화시킬 것이라는 주장을 하고 있어 성과주의 임금제 확산이 적잖은 '마찰음'을 낼 전망이다.
매일신문이 국내 1천대 기업(2002년 매출액 기준) 가운데 대구에 본사를 둔 주요 기업 19곳을 대상으로 '성과주의 임금제' 도입여부를 조사한 결과, 화성산업.평화산업 등 9곳(47%)이 이미 호봉제를 탈피, 업무성과에 기초한 임금을 주고 있었다.
또 호봉제와 성과주의 임금을 혼용한 형태의 제도를 운영해오던 대구은행.대구백화점 등도 올 해부터 성과주의를 대폭 강화할 방침이다.
삼립산업은 지금까지 호봉제 형태를 취해왔지만 1, 2년내에 성과주의 임금제도로 바꾼다는 방침을 정하고 평가지표 개발작업을 진행하는 등 호봉제 기업들의 변화도 점쳐지고 있다.
구미 삼성그룹 계열사, LG전자 계열사, 코오롱, 효성, 포항의 포스코 계열사 등 대기업들은 이미 수년째 성과주의 임금제도를 유지해오고 있으며 최근엔 '성과형 임금 체계'를 더욱 강화, 기업내에서도 부서별, 개인별 임금격차가 현격하게 벌어지고 있다.
지난해 1월 노동부 조사에 따르면 전국의 근로자 100인 이상 사업장 가운데 37.5%가 연봉제를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호봉제를 실시하는 일부 기업체는 과학적 직무분석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에서 성과형 임금제도를 도입할 경우, 폐해가 더 많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박종률 대구도시가스 기획.홍보과장은 "성과주의 임금제도를 실시하는데 있어 가장 큰 걸림돌은 직무분석"이라며 "성과주의 임금제도를 실시하는 대다수 기업 근로자들이 성과를 쉽게 보여줄 수 있는 부서에 남으려해 기업은 적절한 인력 배분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자칫 생산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고 했다.
한편 민주노총 등 노동계도 비정규직 문제와 함께 근로자간 불신을 부르는 성과형 임금제에 대해서도 반대한다는 입장이어서 중소기업 및 현장 생산직으로 성과형 임금제가 확산되면 노사간 마찰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김성우.박정출.최경철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