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3, 4%씩 꾸준히 증가해온 최대 전력 사용량이 올해는 10% 가까이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OPEC의 생산 쿼터 감축 결정, 미국의 원유재고 감소 등 복합적인 영향으로 인해 최근 휘발유 값도 1배럴당 34~35$의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바야흐로 '에너지 대란'의 시대다.
산업구조를 개선한다, 자가용 이용량을 줄인다, 대책이 분분하지만 전문가들은 결국 가정에서 에너지 절감의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도시화' '기후변화'도 에너지난 촉발
에너지 대란은 도시화의 진행에 따른 도시 기후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계명대 환경학부 김해동 교수에 따르면 1963년과 2002년의 대구지역 토지이용도를 비교해보면, 도시공간이 5.5배 가량 확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여름철 도시 기온차도 10℃ 가량 상승했다.
이는 80만 배럴의 석유를 한꺼번에 연소한 열량과 맞먹는다는 것.
김 교수는 "에너지 대란이 산업화의 진전에 기인한 측면도 있지만, 과거에 비해 온실기체(CO2) 배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한 기후의 변화 때문에 비롯됐다"며 "특히 기후변화협약 시대가 다가옴에 따라 에너지 절약의 요구가 더 급박해졌다"고 지적했다.
'기후변화협약'은 1997년 교토기후협약 이후 전 세계 각국이 온실기체의 배출량을, 할당받은 만큼의 양으로 줄이자(총량규제)는 것.
2008~2012년 선진 39개국이 이를 달성해야하는데, 우리나라도 2013~2018년에 걸쳐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여야 한다.
현재 할당량의 193%를 쓰는 우리나라는 93%를 줄여야 협약 기준을 만족하는데, 산업발전을 감안하면 이보다 더 줄여야하는 부담을 안고 있다.
복잡한 도시구조도 에너지 대란의 원인이다.
고층화된 아파트일수록 에너지를 강제로 순환시켜야 하다보니 주택에 비해 수 배 가량 전력소비가 늘어난다.
건물이 고층화되고 고밀도화될수록 공기의 순환이 어려워지고 도심은 더워질 수밖에 없다.
문제는 이런 상황을 감안하더라도 급격한 수정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산업이 고 에너지 소비구조인데다, 지가 상승으로 인해 공동주택의 입지는 더욱 고층화.고밀도화될 수밖에 없다.
김 교수는 "이런 이유 때문에 결국 에너지 대란의 해법은 가정.개인 부문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며 "지자체별로 이러한 실정을 시민들에 홍보하고 절약운동에 동참할 것을 독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에너지 절약 해법은 가정.개인에서
에너지 절약은 이제 정부.시민단체의 주요한 과제로 확산되고 있다.
전국 265개 환경.소비자.여성단체들로 구성된 에너지시민연대는 지난 2002년부터 추진해 온 '전기에너지 20% 절약운동'의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 1, 2월 총 250가구가 이 운동에 참여했는데, 월 평균 44.5㎾h를 절약했다는 것. 이를 전국에서 주택용 전력을 사용하는 1천503만 가구로 확대했을 경우 지난해 전체 주택용 전력 사용량의 17.2%를 절감할 수 있다는 것.
에너지시민연대측은 "이번 성과를 토대로 올해는 100만 가구 절약운동으로 확산할 계획"이라며 "이 계획이 달성되면 전체 주택용 전력의 12%에 달하는 연간 120억KWh의 전력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산업자원부와 대구시도 하절기를 맞아 전기를 절약한 가정에 대해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캐쉬백(Cash Back)' 제도를 실시키로 했다.
전국 5만 가구를 대상으로 전년도 6~9월 중 연속 3개월 총 사용량(6~8월, 7~9월 중 택일)을 올해 같은 기간에 10% 이상 절감한 가정에 대해 가구별로 2만원의 인센티브를 지원하겠다는 것.
한편 맑고푸른대구21추진협의회는 지난 18일 학계.시민단체 관계자들을 초청한 가운데 대구 흥사단 강당에서 '에너지 시민토론회'를 개최하고, 에너지 대란의 심각성과 정부.시민의 과제에 대해 논의했다.
최병고기자 cbg@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