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기념행사만도 50번은 한 것 같은데…. 이제라도 '내가 헛고생을 한 것은 아니었구나' 하고 만족할 수 있는 것 같아 기분은 좋아".
송규련(78.달서구 상인동) 할아버지는 23일 육군 제50사단에서 무공훈장을 받았다.
전역 뒤 꼭 50년 만이다.
송 할아버지는 6.25 한국전쟁이 발발한 직후인 1950년 8월 입대해 일등병으로 1사단에 소속돼 팔공산, 경북 군위지구전투에 참가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중공군에 포로로 잡혔다.
그 뒤 송 할아버지는 전쟁 중 미군 폭격을 틈 타 탈출, 54년 5월 전역했고 4년간의 군 생활은 다시 생각하고 싶지 않은 기억속에 묻어버렸다.
송 할아버지는 공을 인정받아 그해 10월 뒤늦게 무공훈장 대상자로 선정됐으나 50년 만인 올 6월, 무공훈장을 받게 된 것. 6.25 참전용사증과 국가유공자증도 최근에서야 받았다.
육군이 송 할아버지가 포로가 된뒤 집으로 전사자 통지서를 보낸 탓에 집에선 제사까지 지낸 애달픈 사연도 있다.
"모래가 반이나 섞인 밥을 먹는 등 그때 일은 생각하기도 싫어. 그래도 이제라도 국가에서 훈장도 주고 유공자로 인정해주니 감회가 새롭네…".
최병수(70.서구 내당동) 할아버지도 이날 무공훈장을 받았다.
최 할아버지는 지난 50년 9월 16세이던 개성중학교 3학년 시절 학도병으로 자원, 7사단 소속으로 전쟁에 참가했다.
6일간 교육을 마친 뒤 경북 영천지구 전투에 배치받았고 안강, 포항을 거쳐 남포지구 전투까지 치른 최 할아버지는 전투에서 공로를 인정받아 무공훈장을 받았으나 전쟁 중에 잃어버렸다가 반세기 만에 훈장을 다시 받게 됐다.
최 할아버지는 "함께 참전했던 무명의 형님들은 모두 부상으로 의가사 및 명예제대를 한 뒤 전쟁 후유증으로 고생하다 다들 돌아가셨는데 나 혼자 남아 다시 훈장을 받게 되니 기분이 묘하다"며 "그래도 잃어버렸던 훈장을 다시 되찾게 돼 너무 기쁘다"고 감회를 털어놨다.
이날 무공훈장 전수식엔 박정숙(72.북구 칠성동)씨도 참석, 고인이 된 남편 이무호씨를 대신해 2개의 무공훈장을 받기도 했다.
박씨는 "비록 고인이 됐지만 늦게나마 이렇게 훈장을 받고 인정을 받게 돼 하늘나라에서도 기쁘게 생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육군에 따르면 한국전쟁 당시 무공훈장 수상 대상자로 선정된 사람은 모두 16만여명이었으나 현재까지 훈장을 받은 수훈자는 50%에 못 미치는 7만여명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호준기자 hoper@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4대강 재자연화 외친 李 정부…낙동강 보 개방·철거 '빗장' 연다
李대통령, 24일 취임 후 첫 대구 방문…"재도약 길, 시민 목소리 듣는다"
李대통령, 24일 대구서 타운홀미팅…"다시 도약하는 길 모색"
나경원은 언니가 없는데…최혁진 "羅언니가 김충식에 내연녀 소개"
냉부해 논란 탓?…李 대통령 지지율 52.2%로 또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