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통상부가 김선일(33)씨의 피랍사실을 여러 경로를 통해 인지하고도 이를 묵살했던 것으로 뒷받침하는 각종 자료와 정황이 속속 제기되면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AP 텔레비전 뉴스인 APTN은 지난 6월 초 이라크에서 피랍된 가나무역 직원 김씨가 나오는 비디오 테이프가 배달돼 6월 첫째주 AP통신을 통해 김씨의 신원 및 사실 여부를 외교통상부에 문의했다고 24일 밝혔다.
이 테이프에는 김씨가 담담한 표정으로 자신의 나이와 '미국이 싫다'는 의견을 밝히는 모습이 담겨 있어 이 테이프가 제작됐던 시점에 외교력이 가동됐으면 김씨를 살릴 수도 있었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현재 상황 파악중 "이라며 "외교부 본부에 문의했다는 것인지, 주이라크 대사관에 문의했다는 것인지 등 사실관계를 AP통신에 문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테이프의 존재가 만약 외교부의 묵살 속에서 방치됐다면 자국민 보호에 모든 업무의 우선 순위를 둬야할 외교부로선 업무태만과 무신경을 지적받을 수 밖에 없다.
여기에다 김선일씨가 지난달 31일 실종되고 김씨의 고용주인 김천호 사장이 다음날인 6월1일 김씨와 전화연락이 두절되자 교통사고를 당한 줄 알고 주변 지역 경찰서와 병원 등지를 샅샅이 뒤졌던 것으로 확인되면서 현지 공관의 교민안전대책에 구멍이 뚫렸음을 보여줬다.
사건이 알려진 직후 외교부는 전화 통화와 e-메일을 통해 교민들의 안전을 점검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김씨 피살 때까지 3주가 넘는 시간이 있었음에도 현지 공관에서는 김씨의 실종사실을 전혀 인지하지 못했기 때문.
또 김천호 사장이 사건 발생 이후 이달 1일, 7일, 10일, 11일 등 네 차례에 걸쳐 현지 대사관을 방문한 것도 의문으로 남는 대목이다.
김 사장이 20일 군납 원청업체인 AAFES와 계약문제 협의차 모술지역을 방문하는 등 사업으로 분주한 김 사장이 왜 이렇게 자주 공관을 방문했냐는 것이다.
방문 과정에서 혹시 김선일씨의 실종을 현지공관에 보고하지 않았겠느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한편 외교부는 알 자지라 방송을 통해 김선일씨의 모습이 공개되기 21일 이전까지 김씨의 실종을 전혀 몰랐다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어 외교부의 교민관리와 정보력 부재가 심각한 상황이라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연합뉴스)
사진:지난 6월 초 AP 텔레비전 뉴스(APTN)로 배달된 이라크에서 피랍된 가나무역 직원 김선일씨가 나오는 비디오 테이프의 영상.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