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운전자의 절반 이상은 교통사고를 남의 탓으로 생각하는 '책임 전가형'인 것으로 조사됐다.
손해보험협회가 최근 코리아리서치센터에 의뢰해 운전자 800명을 대상으로 교통안전의식을 설문조사한 결과 사고 경험이 있는 운전자 444명 가운데 231명(52.1%)이 다른 차량의 잘못이라고 답한 것. 반면에 운전 미숙, 법규 위반 등 자신에게 책임이 있다는 운전자는 27.8%에 그쳤다.
또 응답자의 97.5%는 자신이 교통법규를 잘 준수한다고 했으나 다른 운전자에 대해서는 44.1%만 잘 지킨다고 응답했고, 전체 응답자의 24%는 최근 1년 사이 경찰에 단속당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의 지속적인 단속에도 불구, 음주운전은 여전히 숙지지않아 응답자의 12.9%가 최근 1년동안에 음전운전을 한 경험이 있다고 했으며, 특히 이들 음주운전 경험자의 53.9%는 연간 3회 이상 음주운전을 한다고 대답해 음주운전의 상습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줬다.
이와 함께 여성운전자의 61.9%가 남성 운전자의 위협운전을 경험했다고 응답했으며, 남성운전자의 67.6%는 여성들이 남성보다 운전을 못한다고 평가해 여성을 평가절하하는듯한 경향을 보였다.
이밖에 다른 차량으로부터 위협운전을 당하면 모른체한다는 응답이 55.5%로 가장 많았으며 '욕설, 경보음 등으로 항의'(39.7%), '보복 위협운전'(3.6%)을 한다는 응답자도 꽤 있었다.
이상헌기자 dava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