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경기 과열을 우려해 경기억제정책을 실시함에 따라 세계경제 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경제의 성장세가 지난해 세계경제 성장률의 거의 6분의 1 정도를 차지했던만큼 중국의 성장세가 둔화될 경우 세계경제 상승세도 약화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모건스탠리의 수석이코노미스트인 스티븐 로치는 지난해 9.1%의 고도성장세를 7 %대로 낮추려는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경기억제정책이 2005년 세계경제 성장률을 0.5%포인트, 아시아 성장률을 1%포인트 정도 끌어내릴 것으로 추산했다.
그는 6일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 지도부가 현재 과열된 경제를 진정시키려 하고 있기 때문에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며 " 오늘날 중국경제가 재채기를 하면 세계경제는 감기에 걸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중국이 세계 통상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0년전에 비해 거의 3배로늘어난 6-7%로, 미국과 독일에 이어 세계 3번째 수입국으로 성장했다.
중국 경제가 둔화되고 있다는 증거는 이미 상품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다고 글로벌 인사이트의 이코노미스트인 존 머더솔이 지적했다.
머더솔은 2003년과 2004년 1분기 동안 중국이 철강과 구리, 니켈, 석유 등 상품을 구매함에 따라 상품의 가격이 40%나 급등, 9년만에 최고의 급등세를 보였으나 지난 4월을 고비로 12%나 하락했다고 말했다.(워싱턴 블룸버그=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