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내 단관 영화관들이 자취를 감추고 있다.
결국 최근 몇 년새 대구를 대표했던 극장들인 자유, 제일, 대구극장 등과 사보이, 오스카, 신도 등 동네마다 있던 재개봉관들이 잇따라 문을 닫게 됐다.
게다가 최근에는 씨네아시아가 경영난을 이유로 폐관 절차를 밟고 있고, 유일한 단관으로 남았던 시네마M마저 8개관 규모의 멀티플렉스로의 전환을 검토하고 있는 등 대구가 전국에서는 처음으로 '멀티플렉스 100%' 도시로 이름을 올리게 됐다.
한마디로 '단관의 추억'이 된 셈이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많은 지역 영화인들과 영화팬들은 "극장의 낭만이 사라졌다"며 아쉬워하고 있다.
직장인 최경모(29)씨는 "영화관이 멀티플렉스 일색이 되면서 가장 큰 변화는 한 영화가 스크린에 걸리는 기간이 짧아진 것"이라며, "조금만 늦으면 영화를 보고 싶어도 볼 수 없는 현실"이라고 말했다.
특히 '투자한 만큼 뽑는다'는 기본이 철저한 멀티플렉스가 흥행성 위주의 상업영화만 선호, 다양한 영화를 보고 싶어하는 욕구를 저해하고 있다는 지적도 높다.
한 영화인은 "영화관만 멀티이지 상업영화 일색인 멀티플렉스는 다양한 영화를 보고 싶어하는 영화인들을 오히려 밀어내고 있다"고 했다.
멀티플렉스의 발원지인 미국에서는 요즘 홈시어터의 발전과 P2P의 강세로 멀티플렉스의 매력이 감소, 상당수 극장들이 상영관을 줄이거나 경영난에 허덕이고 있다고 한다.
멀티플렉스 천국이 돼버린 대구가 한번쯤 되새겨 봐야할 이유다.
정욱진기자 pencho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