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줌마!"
길을 걷다가 "아줌마"라고 부르는 소리를 들으면 움찔하게 된다.
돌아보기 싫지만 어쩔 수 없이 대답해야 하는, 묘한 느낌이 드는 것이다.
일종의 체념 같은 느낌이랄까.
아줌마는 이 땅에서 '제3의 성'이다.
그런 별칭은 억척스럽게 물건값을 깎고, 공짜라면 하나라도 더 얻으려는 모습에서 붙여진 것이리라. 아줌마로서 남자도, 여자도 아닌 채로 이 땅에서 별난 존재로 취급받는 아줌마들 모습을 가까이서 접하다 보면 여러 가지 생각이 든다.
나 역시 결혼 14년차. 맞벌이 한 지도 벌써 11년째. 아줌마로서 대형소매점에서 고객 서비스를 담당하다 보니 같은 아줌마들의 이런저런 모습을 보게 된다.
교환.환불이 쉽다는 점을 이용, 충동구매를 해 일정기간 사용 후 아무런 미안함 없이 환불을 요구하는 사람들도 생각보다 많다.
이렇게 환불한 상품들은 결국 쓰레기가 되고, 결국 자원 낭비로 이어진다.
또 상품에 부착된 증정품만 떼내고 본 상품은 환불하는 경우도 있고, 얼룩진 옷을 들고와 당당하게 환불을 요구하기도 한다.
어떤 아줌마들은 무조건 매장이 떠나가라 큰 소리로 항의하기도 한다.
또 사람이 많이 모인 장소에서 아이들이 마음대로 뛰어다니고 울고 상품을 망가뜨려도 정작 엄마들이 잘못을 지적하거나 야단을 치는 모습은 보기 힘들다.
이런 모습 때문에 아줌마들이 이 땅에서 외로운 섬같은 존재로 남아있는지도 모른다.
나도 아줌마이다.
그래서 가끔 이런 모습들을 내 속에서 발견하기도 한다.
결혼 직후부터 지금까지 경제권은 내가 줄곧 쥐고 있다.
남자들은 아내가 경제권을 갖고 있다는 것을 특혜처럼 생각하지만 결코 그렇지 않다.
정해진 돈으로 가정경제를 꾸리다보니 마이너스가 날 때도 있고, 생각 외의 지출도 있으니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결국 통장 잔고를 뻔히 아는 아줌마들이 그 빈자리를 채워야 할테니, 가끔 억척스런 고객들에게 씁쓸한 동질감이 느껴지기도 한다.
'아줌마'란 호칭이 떳떳하고 자랑스러운 호칭이 되도록 만드는 것은 결국 우리 아줌마들의 몫이 아닐까.
전미경(이마트 성서점 CS매니저)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