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오후 경북대 본관 왼쪽에는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무기한 철야농성'이라고 쓰인 현수막이 걸려 있었다.
그 뒤쪽 3평 남짓한 천막 속에서 한국비정규직교수노동조합 소속 시간강사 5, 6명이 이불을 깔고 앉아 농성을 벌이고 있다.
이들이 천막 철야농성에 돌입한 지 벌써 26일째.
이들은 지난 4월부터 현재까지 학교 측과 단 세 차례 교섭을 했을 뿐 성과는 전혀 없었다며 씁쓸해 했다.
경북대에 따르면 현재 이 대학에는 정교수 890여명에 시간강사 870여명이 있다
절반 정도인 비정규직 교수들은 전체 수업의 25.7%를 담당하고 있지만 이들의 학내 생활여건은 열악하기 짝이 없다.
강사도 많고, 강의시간도 많지만 연구할 공간은커녕 쉴 만한 휴게실 한 칸조차 없다.
시간강사 이모(34)씨는 "강사들의 근무 여건도 문제지만 한 강의실에 100여명씩 학생들이 몰려서는 제대로 된 수업 자체가 불가능하다"며 "단순히 강사 처우를 개선해 달라는 것이 아니라 제대로 된 수업을 할 수 있도록 수강인원도 50명 정도로 제한하고, 폐강기준도 완화해 달라는 것"이라고 했다.
한국비정규직교수노동조합 경북대분회는 △수강인원 축소, 기자재 지원 등 수업환경개선 △교수, 교직원, 학생으로 구성된 교육환경개선위원회 설치 △공동연구실, 휴게실 등 학생지도환경개선 △노조활동 보장 △월급제와 교직원 수준의 복리후생 보장의 5대 요구안을 학교 측에 제시해 놓고 있다.
강사 임모(33)씨는 "학교 측은 마치 '우리가 요구한 대로 하면 곧 학사행정의 차질이 온다'고 말하지만 이는 오해이며, 우리는 학교 공간과 재정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정당한 요구를 하고 있다"며 "지난 7월부터 세 차례 교섭을 하는 동안 학교 측은 교섭주체가 아니라는 말만 하며 대화를 미루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경북대학교 관계자는 "앞으로 매주 한번씩 단체교섭을 벌이는 등 일정 논의가 거의 끝난 상태지만 월급제는 시간강사가 일종의 프리랜서 개념이므로 방학기간 중에는 지급할 수 없다"며 "그러나 10평 정도의 사무실 2개소를 조합 측에 제공하는 등 5대요구안에 대해 긍정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상현기자 ssang@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