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되는 경기침체 속에서 연말연시에 지급되는 성과급이 극단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다.
두툼한 성과급을 기다리는 곳은 전자, 정유, 철강 분야. 올해 11조원이 넘는 순이익이 예상되는 삼성전자는 사업부별로 최고 연봉의 50%까지 PS(Profit Sharing)를 지급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별도인 특별성과급 지급여부는 분명하지 않지만, 올해 실적이 지난해의 두배에 달하기 때문에 긍정적인 전망이 우세하다.
LG전자는 내년 1월 월급여의 140~170%를 성과급으로 줄 것이라는 예상이다.
실적이 좋아 300%까지 높아지지 않겠느냐는 희망섞인 관측도 나오고 있다.
하이닉스반도체도 적자에서 벗어나 올해 순이익이 2조원대에 이르러 성과급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SK(주)(매출 15조~16조원, 순이익 1조4천여억원), LG칼텍스(매출 13조~15조원, 순이익 6천여억원) 등 국제유가 상승과 환율하락의 혜택을 톡톡히 누린 정유사들은 "기름값 올려 배불린다"는 주위의 따가운 눈길이 오히려 부담이다.
올해 전체 영업이익이 4조8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포스코 역시 상반기 성과급 350%와 9월 추가 성과급 190%에 이어 연말에도 200%를 또 지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INI스틸과 동국제강, 현대·기아차 등의 직원들도 두툼한 성과급 봉투를 기다리고 있다.
반면 지난해 1월 300~1천%의 성과급을 지급했던 코오롱은 노조파업과 적자에 시달려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성과급을 기대하기 어렵다.
주택경기 침체로 수익성이 나빠진 건설업계도 성과급을 기대하기 힘들어졌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