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올해 수능 시험에서 대리시험 의
혹이 짙은 서울 지역 수험생 27명의 신분을 파악하고 정밀 조사에 나섰다.
또 휴대전화 메시지를 이용한 부정 행위자가 전국에서 21명이 추가로 적발됐다.
대리시험 수사는 전국 지방경찰청에서 이뤄지고 있고, 경찰이 '문자+숫자' 형태
의 메시지까지 수사 범위를 확대함에 따라 수능 부정 파문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 '대리시험 의심' 27건 선별= 서울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는 1일 "교육청에
원서를 제출한 서울지역 재수 이상 수험생 6천800여명의 응시원서 사진과 주민등록
사진을 대조한 결과, 27건이 서로 다른 인물로 판별됐다"고 밝혔다.
김재규 사이버범죄수사대장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교육청에 개별적으로 제출
된 6천832명의 원서와 구청에서 받은 주민등록 전산자료를 정밀 대조한 결과, 이같
이 나타났다"고 말했다.
원서와 주민등록 사진 대조작업은 서울을 포함한 전국 지방경찰청에서 2만여명
을 대상으로 이뤄지고 있어서 대리시험 부정행위자 규모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
다.
경찰은 2단계에 걸쳐 원서 사진과 주민등록 사진을 대조해 선별된 27건에 대해
국립과학수사연구소 문서영상과에 정밀 판독을 의뢰할 예정이다.
또 이와 별도로 사진이 다른 27명의 주거지를 직접 방문해 응시원서 사진이 본
인이 맞는지 확인 조사를 병행하고 있다.
경찰은 국과수에서 다른 인물로 판별됐음에도 대리시험 혐의를 부인하는 수험생
들에 대해서는 필적조사 등 가능한 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 혐의를 밝힐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 '휴대전화 부정' 21명 추가적발= 전날 21개조 82명의 휴대폰 부정행위자를
적발한 경찰은 이날 "KTF에서 받은 메시지 1만2천 건을 조사한 결과 10개조 21명이
추가로 확인돼 부정행위 연루자는 모두 31개조 103명으로 늘었다"고 밝혔다.
새로 밝혀진 부정행위 관련자는 전북 3개조 7명, 광주.순천 4개조 8명, 서울,
충남, 경남 마산 1개조 2명씩이다.
경찰은 이날 오후 2시 서울경찰청에서 전국 지방경찰청 수사2계장 회의를 열고
각 지역 부정행위 사건들을 관할 지방청에 인계했다.
경찰은 또 '언어', '수리' 등 과목명과 '홀수', '주관식' 등 문제와 답안 유형
을 나타내는 문자를 포함한 메시지에 대해서도 이날 압수수색영장을 신청,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김 수사대장은 "자료가 확보되는대로 신속히 선별작업을 거쳐 부정행위 연루자
를 가려낼 예정"이라며 "수능 성적 산출 일정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다음은 휴대전화 부정행위 지역별 전체 현황 (기존 광주 부정행위자 제외)
▲ 서울 5개조 12명(3,3,2,2,2) ▲ 충남 3개조 6명= 부여 1개조 2명, 천안 2개
조 4명(2,2) ▲전북 11개조 46명= 전주 5개조 24명(12,3,3,3,3), 정읍 2개조 9명(7,
2), 고창 2개조 8명(5,3), 남원 2개조 5명(3,2) ▲광주.전남 11개조 37명= 광주 9개
조 27명(10,3,2,2,2,2,2,2,2), 순천 2개조 10명 (7,3) ▲경남 마산 1개조 2명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