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부정행위를 수사중인 경찰은 5일 올해 수능
에서 부정행위를 했다가 적발된 수험생과 재학생 등 300여명의 명단을 교육부에 통
보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경찰청 지능범죄수사과는 "4일 수사가 종결된 휴대전화 메시지 부정행위자 등 1
95명(수험생 141명)의 명단을 교육부에 통보한 데 이어 6일 추가로 110여명의 부정
행위 관련자 명단을 통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6일까지 통보될 부정행위 가담자에는 광주에서 처음 적발된 수험생 및 관련자 1
80여명과 대리시험 응시자, 숫자메시지 이용 부정행위자 등이 모두 포함되며 이 가
운데 수험생은 250여명으로 추산된다.
이번 통보대상에는 현재 수사중인 충북 입시학원장 관련사건과 광주ㅇ고 부정의
혹 사건, 무혐의로 판명된 수험생들은 포함되지 않았다. 경찰은 문자+숫자 메시자와
웹투폰 수사 과정에서 적발되는 부정행위자는 향후 추가 통보할 방침이다.
한편 경찰은 3개 이동통신사로부터 '문자+숫자' 형태의 메시지 2만703건을 넘겨
받아 조사를 벌이고 있다.
경찰은 "4일 오전 11시 KTF와 LG텔레콤에서 '문자+숫자' 형태의 메시지 1만9천8
11건을 넘겨받아 분석에 들어간 데 이어 오늘 오전 SK텔레콤으로부터 같은 메시지 8
92건을 압수했다"고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SK텔레콤의 경우 메시지 앞 부분 6바이트(한글 3음절.숫자나 알
파벳 6자)만의 자료를 저장하고 있어 해당 시험과목 시간과 관련된 '문자+숫자' 메
시지 자료가 많지 않아 압수 건수가 적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압수된 '문자+숫자' 형태의 메시지에는 답안과 관계가 적은 0, 6~9 도
포함돼 있어 이를 제외하면 실제 조사대상은 크게 줄 것으로 보인다.
또 압수대상에 설정된 조건값이 '문자+숫자'의 형태여서 6바이트만 보관되는 SK
T의 경우 '수리가 12345', '언어홀 12345' 등 한글이 6바이트 이상인 부정행위 메시
지는 조사대상에서 빠졌다.
다음은 수능 부정과 관련된 경찰 수사 현황이다.
▲ 광주지역 수능부정 사건 186명 ▲'숫자메시지' 사건 123명 ▲ 대리시험 13명
▲인터넷부정의혹사건 1명
※ 구속 20명, 불구속 166명, 수사중 127명, 혐의없음 10명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