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강재섭(姜在涉) 의원은 24일"연구·개발 특구법 논란은 더 이상은 없다"고 했다. 자신이 대표 발의한 개방형 특구법안을 관철시키지 못했지만 대덕만을 R&D 특구로 지정하려던 정부를 끝내 설복시킨 것. '대권 잠룡'이라면서 지역 현안에 매달린다는 주위의 시선 탓에 마음 고생도 했지만 이제 홀가분하게 됐다.
- 상황은 끝이 났나.
▲논란이 된 특구지정 요건이 법안에서 삭제됐다. 더 바랄게 없다. 특구지정을 바라는 대구·포항이나 광주의 고민도 덜게 돼 기쁘다. 모처럼 대구 의원들의 팀플레이가 주효했다. 연구·개발 역량을 갖추면 어느 지역이든 특구로 지정, 산·학·연·관의 협력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돼 보람을 느낀다.
- 막판에는 일부의 반발도 컸다.
▲과기부 및 여당 간사와 (특구지정 요건을 완화키로) 얘기가 이미 다 됐는데 일부 의원이 들고 일어나서 혼이 났다. 심지어 모 의원은 2008년까지 대덕 이외 도시는 연구·개발 특구신청을 못하도록 하는 내용을 법안에 담아야 한다고 주장, 애를 먹었다. 그게 말이 되는 얘긴가.
- 남은 과제는 무엇인가.
▲당장 대구·포항이 R&D 특구가 되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 특구 지정을 앞당기기 위해 연구·개발의 역량을 키워 나가야 한다. 논란이 됐던'과학연구단지'를 대구·포항에 조성하는 것도 한 방법일 수 있다. 이제부터 시작이다.
- 앞으로의 행보는.
▲ DGIST 예산을 챙겨야 하니 당분간은 과기정위에 남겠다. 그러나 대구·경북의 현안이 어느 정도 해결되면 내년쯤에는 상임위를 옮길 생각이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4대강 재자연화 외친 李 정부…낙동강 보 개방·철거 '빗장' 연다
李대통령, 24일 취임 후 첫 대구 방문…"재도약 길, 시민 목소리 듣는다"
李대통령, 24일 대구서 타운홀미팅…"다시 도약하는 길 모색"
나경원은 언니가 없는데…최혁진 "羅언니가 김충식에 내연녀 소개"
김현지, 국감 첫날 폰 2번 바꿨다…李 의혹때마다 교체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