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테크노폴리스 R&D특구, 잘 돼 갑니까?"
"글쎄요. 갈 길이 멀죠!"
요즘 취재원들과 만나면 가장 자주 주고 받는 말이다.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DGIST) 입지가 달성 현풍 일대로 정해질 때 대구테크노폴리스 조성이 전제됐고, 대구테크노폴리스를 성공시키려면 R&D특구 지정이 필요한 만큼, 'DGIST' '대구테크노폴리스' 'R&D특구'는 모두 한 묶음인 셈이다.
대구시가 적지 않은 전문가들의 비판을 무릅쓰고 DGIST를 달성 현풍에 두려고 애 쓴 것이나, 대구지역 국회 과기정위 의원들을 중심으로 대덕에 초점을 둔 정부의 R&D특구법안을 '개방형'으로 바꾼 것 또한 이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그런데 다음 달 과기부의 R&D특구법 시행령(안) 확정이 다가오면서 대구시와 한나라당 사이에 '부조화'가 드러나고 있어 걱정이다.
한나라당 쪽에서는 '국립연구기관 또는 정부출연연구기관 3개 이상' '전체 과학기술연구기관 40개 이상' '이공계 대학 3개 이상'이라는 정부의 R&D특구 지정요건에 국립 또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분원'을 포함하도록 하고, '이공계 학부를 둔 대학 3개 이상'으로 '완화' 한 것으로 역할을 다했다는 입장인 것 같다.
반면에 대구시는 '다른 법률에 의한 과학기술(연구)원이 설립되어 있는 곳'을 포함시켜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한마디로 DGIST가 들어설 대구테크노폴리스를 R&D특구로 지정해 달라는 것이다.
솔직히 대구시의 요구는 'R&D 역량을 충분히 갖춘 곳에 산업화 기능을 추가, 혁신클러스터로 발전시키겠다'는 정부·여당의 R&D특구법 제정 취지와 많이 벗어난다.
이 때문에 일부 전문가들은 현풍이 아닌, 구미를 포함한 기존의 산업기반과 대구의 도심기능, 경산의 대학을 연계할 수 있는 대구 북구나 동구 지역에 DGIST를 설립함으로써 대구·경북 독자적인 혁신클러스터를 만들자고 주장했던 것이다.
대구시와 한나라당이 정부·여당의 정책 추진 방향에 대해 이해하지 못했을 리 없다.
그런데도 대구시와 한나라당이 '대구테크노폴리스 → R&D특구'를 밀어붙이는 배경에는 나름대로 뭔가 특단의 '카드(?)'를 고려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있었다.
하지만 최근 상황을 종합해보면, 대책(=전략)없는 독불장군식 주장에 불과했을지 모른다는 우려가 든다.
실천 전략없는 무모한 정책의 최대 피해자는 결국 최악의 경기침체에 허덕이고 있는 대구시민들뿐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석민기자 sukmin@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장예찬 "강유정 포르쉐가 장동혁 시골집보다 비쌀 것"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
"이재명의 승리" "역사적 업적"…관세협상 타결에 與 칭찬세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