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심근경색환자는 당뇨병 유병률이 높은 만큼 철저한 당뇨검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려대 구로병원 내분비내과 최경묵·백세현 교수팀은 당뇨병 병력이 없었고 혈당이 높지 않던 30명(평균나이 58.4세)의 급성 심근경색 환자를 대상으로 퇴원시와 퇴원 후 3개월째 각각 '경구당부하검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의 70% 가량이 고혈당위험성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고 8일 밝혔다.
퇴원시에는 40.4%가 '내당능장애', 33.3%는 '당뇨'에 해당됐다.
내당능장애는 당뇨병 전단계를 뜻한다.
퇴원 후 3개월째에도 이 같은 상태는 유지돼 36.7%의 환자가 내당능장애, 30%가 당뇨로 진단됐다.
당뇨 때문에 혈당이 높아진 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되면 혈관벽이 빨리 망가지게 되고 결국은 동맥경화증으로 급성 심근경색이 올 수 있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美와 말다르다? 대통령실 "팩트시트에 반도체 반영…문서 정리되면 논란 없을 것"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
"이재명의 승리" "역사적 업적"…관세협상 타결에 與 칭찬세례
李 대통령 지지율 57%…긍정·부정 평가 이유 1위 모두 '외교'
트럼프 "한국 핵추진 잠수함 건조 승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