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남한땅을 처음 밟은 북한산 반달가슴곰 8마리가 1일 지리산에 방사됐다.
남북이 분단된 지 60년 동안 사람들이 이루지 못한 남북통일의 꿈을 반달곰들이먼저 이룬 셈이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김재규)은 1일 공단창립 18주년을 맞아 국립공원 1호인 지리산 자락의 지리산국립공원 남부사무소 앞마당에서 비전 선포식을 갖고 북한산 반달곰 8마리(암수 각 4마리)를 지리산 남쪽 문수골에 방사했다.
이로써 지리산에 방사된 곰은 지난해 10월 1일 한반도 고유종과 같은 혈통인 러시아 연해주산 새끼곰 6마리를 포함해 모두 14마리로 늘어났으며 5∼6마리로 추정되는 야생반달곰까지 더하면 20마리 가량이 함께 살게 된다.
방사된 북한산 반달곰 8마리는 2003년 12월 평양 중앙동물원에서 태어나 지난 4 월 14일 서울대공원과 평양중앙동물원간 남북한 동물교환의 일환으로 임진각을 거쳐남한으로 들어왔다.
이들 북한산 곰은 '지리산 반달가슴곰 종복원 사업용'으로 환경부에 곧바로 기증돼 국립공원관리공단 반달가슴곰팀(팀장 한상훈 박사)의 보살핌속에 문수골에 있는 1천700평 규모의 자연적응 훈련장에서 두달 넘게 야생적응 훈련을 받아왔다.
유전자 분석결과 한반도 고유종인 '동북아시아 우수리아종(학명 Ursus thibetan us Ussuricus)'으로 판명된 이들 곰은 적응훈련 기간에 지리산에서 난 밤과 나무 새순, 조릿대 등을 먹으며 두달동안 몸무게를 10㎏ 늘려 50㎏이 됐다.
반달가슴곰팀은 방사 후에도 이들 곰의 귀에 부착된 전파발신기를 통해 서식과 동태를 추적관리한다.
공단측은 북한산 곰들의 이름을 북측에서 불렸던 대로 장강21, 송원43, 덕성17, 덕성16, 송원9, 랑림33, 랑림32, 장강24로 부르기로 했다.
환경부와 공단은 지리산에 반달곰 방사를 계속해 2008년까지 방사곰을 30마리로늘리고 2012년까지는 자연번식이 가능한 최소존속 개체군인 50마리까지 늘릴 계획이다. (연합뉴스)
사진 : 1일 전남 구례군 토지면 문수리 계곡에 위치한 자연적응훈련장에서 방사된 북한산 반달가슴곰 한 마리가 우리 밖 나무를 타며 놀고 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지난 4월 북한중앙동물원에서 남북한 동물교환의 일환으로 들여온 반달가슴곰 8마리를 보살펴 오다 이날 방사행사를 가졌다.(연합)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