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정부 시절 국정원장들이 '국민의 정부 불법도청 공개' 파문과 관련, 22일 김승규(金昇圭) 국정원장을 면담한 것으로 확인돼 도청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국정원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김 원장이 전직 원장들의 요청으로 오늘 오후 시내 모처에서 만났다"면서 "김 원장은 이 자리에서 지난 5일 불법도청을 고백하게 된 취지 및 배경을 설명하고 이해를 구했다"고 밝혔다.
이날 모임은 국민의 정부 국정원장 가운데 천용택(千容宅) 전 원장을 제외한 이종찬(李鍾贊) 임동원(林東源) 신 건(辛 建) 전 원장 등 3명이, 국정원에서는 김 원장과 1, 2차장 등 주요 간부들이 배석한 가운데 4시간 가량 진행된 것으로 전해졌다.
천 전 원장은 공운영 전 미림팀장에게서 도청테이프를 회수하면서 자신과 관련된 테이프 2개를 빼돌렸다는 의혹을 받고 있어 금주중 검찰에 소환될 것으로 알려져 이날 면담에서 제외된 것으로 알려졌다.
전직 국정원장들이 이날 면담 이후 별도의 견해를 언론을 통해 밝힐 것인지 여부는 즉각 확인되지 않았으나, 이들이 면담을 추진한 것 자체가 집단 대응에 나선것으로 해석될 수 있어 전·현 국정원 또 전·현 정부간 갈등이 증폭될지 주목된다.
이날 면담에서 전직 국정원장들은 국정원의 기본 임무인 합법감청과 불법 도청을 명확히 구분하지 못한 채 발표한 것은 아닌지, 그리고 국정원 관계자들에 대한 조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성급하게 발표한 점 등에 대해 강한 이의를 제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김 원장을 비롯한 국정원측은 지난 5일 발표 내용이 정권 차원의 도청이 아닌 실무레벨 차원의 도청이 일부 있었음을 고백한 것이며, 신 전 원장 재직시 도청이 완전 중단됐음을 밝히는 것이었다는 점을 설명하며 이해를 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 직원법은 '전직 국정원 직원들이 언론을 접촉하거나 검찰에 출두해 과거직무와 관련된 사항을 진술할 경우 현 국정원장의 사전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돼 있어 전직 원장들이 김 원장에게 언론 접촉 허가 등을 요구했을 가능성도 배제할수 없다.
한편 김대중(金大中) 전 대통령측의 최경환 비서관은 이들의 공동 대응 움직임에 대해 "우리와 협의한 바 없다"고 밝혔다. 최 비서관은 이어 "다만 그분들도 도청이 없었다고 밝혔고, 대통령께서도 그분들을 믿고 계신다"면서 "그분들께서 대응을 잘 하실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