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년 간 수도권 사립대가 평균 3 70억원 가량을 모금한 반면 주요 국립대 모금액은 사립대의 절반 수준인 평균 200억원에 그쳐 국-사립대 격차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연합뉴스가 기부금 모금 상위권에 속하는 국립대 11개대와 사립대 216개대등 전국 227개대의 2000∼2003년도 기부금 모금 현황(한국사학진흥재단 보유 자료) 을 자체 분석한 결과 국립대 중 가장 많은 기부금을 모은 서울대가 모금액 616억원으로 조사대상 227개대 중 22위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11개 국립대가 2000∼2003년 간 모은 기부금은 모두 2천200억원으로, 서울대에 이어 경북대(26위·515억원), 부산대(36위·308억원), 강원대(41위·256억원), 전남대(64위·141억원) 순이었다.
제주대(98억원)와 충남대(79억원), 전북대(73억원) 등 조사대상의 절반 이상이100억원 미만에 그쳤으며 경상대와 충북대는 각각 36억원과 17억원에 불과했다. 반면 연세대와 고려대 등 모금액 기준 상위 20개대의 4년 간 총 모금액은 2조6 천175억원으로, 대학당 평균 1천308억원의 기부금을 모은 것으로 조사됐다.
2000∼2003년 기간에 연평균 100억원 이상씩 모금한 '부자' 대학은 모두 32개대로 조사됐으며 이 가운데 서울대와 경북대 등 국립대 2곳을 제외한 30개대가 모두사립대로 밝혀졌다. 2004년의 경우 연세대가 1천755억원으로 가장 많이 모금한 데 이어 성균관대가996억원을 모금했으며 국립대 가운데는 서울대가 이례적으로 578억원을 모았다.
이밖에도 고려대(559억원), 중앙대(424억원), 건국대(316억원)가 모금액 상위그룹에 속했으며 숙명여대(278억원), 이화여대(231억원), 동국대(214억원), 경희대(20 9억원) 등 수도권 주요 사립대는 대개 200억원 이상을 모금했다.
국립대 중에서는 서울대에 이어 부산대(167억원)와 경북대(108억원)가 겨우 100 억원 이상 모금했으나 충남대(32억원), 전남대(31억원), 제주대(25억원), 전북대(14 억원) 등 대부분의 대학이 기부금 모금에 어려움을 겪었다.
법제처 '사학재단재무회계규칙에 대한 특례규칙'에 따르면 대학 기부금은 일반기부금·지정기부금·연구기부금·현물기부금을 합한 것으로 국고보조금이나 예금이자 등은 제외된다.
지난 4년 간 전국 216개 사립대가 모금한 기부금 총액은 4조1천60억원이며 11개국립대가 모금한 총액은 2천200억원이었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이군현 의원(한나라당)은 "대학 기부금은 학문영역별로특화된 대학이나 분야에 분배돼야 연구의 효과가 발휘될 수 있는데 현실적으로는 수도권과 일류 대학에 집중되고 있다"며 "이런 '부익부 빈익빈' 현상 때문에 대학 간격차가 더욱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