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지난 9일 "당분간 연정 얘기를 안할 것"이라고 언급한 이후에도 여권내부에 '연정 여진'이 계속되고 있다. 당 지도부는 대통령의 '뜻'을 받들어 연정논의를 잠시 접어둔 채 선거구제 개편쪽에 전력투구하자고 단결을 호소하고 있지만 초·재선 소장파 의원들 사이에서는 "이참에 연정논의에 분명한 선을 그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도부가 중심을 잡지 못한 채 대통령 말 한마디에 여전히 우왕좌왕하고 있다며 성토하는 기류도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40대 초·재선 의원 모임인 '새로운 모색' 대표 송영길(宋永吉) 의원은 11일 "이제는 연정문제를 정리해야 하며 지도부가 더이상 (청와대에) 끌려가다가는 당에서 큰 소리가 나올 것"이라고 우려했다. 송 의원은 "지역에 내려가 보니 호남, 수도권 할 것없이 민심이 폭발직전의 임계점에 와있더라"고 전했다.
수도권의 한 재선의원은 "연정얘기를 한다는 건지, 안한다는 건지 정리를 해야할 시점"이라며 "(연정)파트너가 거절한 마당에 애매하고 불투명한 태도를 보이는 것은 국민을 우롱하는 처사"라고 불만을 표했다. 소장파를 중심으로 한 당내 일각의 불만기류는 연정논의에 대한 민의의 흐름이 확인되는 추석연휴를 앞두고 더욱 고조되는 듯한 분위기다.
물론 이 같은 기류가 당장 당내 갈등을 증폭시킬 가능성은 커보이지 않지만 향후 연정논의 추이에 따라 당내 분란의 '뇌관'으로 작용할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많다. 당 지도부가 지난 7일 노 대통령과 박근혜(朴槿惠) 대표 간 회담 이후 4일 만인 11일 대야 비난전을 재개하고 나선 것도 이런 당내 기류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전선'을 한나라당에 집중시켜 당내 분위기를 '단속'하기 위한 차원이라는 것.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