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귀를 조금만 기울이면 낙엽이 뒹굴거나 귓가에 속삭이는 바람소리를 비롯하여 햇살에 반짝이는 단풍의 울긋불긋한 흔들림의 소리, 그리고 자신의 발자국소리나 주위의 친구들과 주고받는 마음의 소리와 친숙하게 만날 수 있다. 하지만 특히나 요즘과 같은 바쁜 일상 속에서 이러한 소리를 듣는다는 것은 쉬운 일만은 아닌 것 같다. 가령 길을 걸을 때나 버스 안에서 CD나 MP3를 통해 음악이나 외국어회화에 심취한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그래서 아무 생각 없이 듣는 음악으로 인해 친구의 반가운 외침도, 주위 나무의 속삭임이나 새의 재잘거림도 본의 아니게 무시되기도 한다. 물론 이것은 음악회장이나 강의실에서 할 수 있는 일들이 길에서나 버스에서도 가능하게 하며 그 외 여분의 시간들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곳에는 인위적인 소리의 무미건조함이 있고 자연의 소리로부터 마음의 귀를 열게 하는 자유로움과 여유로움이 없다. 그리고 점차 인위적인 소리에 친숙해지면서 자연과 대화하는 섬세한 정서까지 덤으로 잃고 있다. 즉 호수에 달빛이 부딪치는 소리, 흔들리는 대나무 숲과 그 속에 흐르는 시내의 속삭임 소리 그리고 마음까지 맑게 해주는 솔바람소리. 이러한 자연의 소리를 듣는 마음의 귀를 언제부터인가 잃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자연의 소리와 벗 삼아 지냈던 옛사람들과는 달리 우리는 컴퓨터나 음반에 있는 가상의 세계를 벗 삼아 지내며 지식이나 허위적인 겉치레의 필요에 따라 마음이 아닌 머리로 각종 소리와 예술작품들을 듣고 즐기는 경향이 없지 않은 듯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연의 울림을 마음으로 느낀다면 그만큼 예술작품을 어렵지 않게 마음으로 음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현재 살아있는 울림을 진정으로 들을 수 있다.
만약에 우리의 몸이 지금 거리를 걷고 있는데 머릿속의 생각은 강의실이나 음악회장의 다른 가상의 세계와 과거나 미래의 어떠한 시간 속에 있다면 그것이 진정으로 우리가 현재에 살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 또한 자신의 논리나 감정으로 자연의 울림을 끌어들인다면 진정한 자연의 소리를 듣는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 아마도 아닐 것이다. 자연의 소리를 듣는다는 것은 지금 이 순간에 있는 자신의 소리를 듣는 것이다. 왜냐하면 마음의 귀가 현재의 자연으로 열려 있지 않으면 그 소리가 들리지 않기 때문이다.
자, 자연의 울림을 느껴보는 여유를 가지고서 자연의 오선지 위에 마음의 음표를 찍어 곡도 만들어보고 합주도 해 보자! 그리고 그 울림 속에서 현재의 자신과 진솔한 대화도 시도해 보자!
김동학(작곡가)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