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큰하여 퇴근하는 김 부장
어둠에 등 떠밀려 아파트 문을 열면
또 다시 운동장 같은 어둠
TV리모콘을 누른다
몰려들었던 어둠 한 발짝 멀어지고
화면 속이 어수선하다
구조대의 붉은 제복이 뛰어가고
모자이크 처리된 검은 물체가 건져 올려진다
하얀 천에 덮인 죽음 사이로
발가락이 빼꼼 나와 있다
그 발은 고향행 열차에 마음만 실어
자궁 속 같은 시간을 거슬러
아지랑이 피는 그때로 가는 중이었고
전화벨 소리,
허공만 맴돌다 이윽고 사라지고
TV를 끈다
기다리고 있던 어둠 다시 밀려오고
어둠에 살며시 몸을 기댄다
그 발가락은 이 어둠이 그리웠는지 모른다
우문상 '기러기 아빠'
'기러기 아빠', 해체된 가족의 아버지상(像)이다. 이 시대가 낳은 '기러기 아빠'가 술 취해 돌아온 집은 가족이 없다. 가족이 없는 집은 위안과 안식을 주는 둥지가 아니다. 또 다른 어둠의 현실일 뿐이다. 아파트의 문을 열고 들어오면 'TV'와 '어둠'이 아버지(김 부장)를 맞는다. 아버지가 집에서 위안 받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TV리모콘을 누르'는 것이 유일하다. 그러나 TV에서도 위안을 받지 못한다. 현대 문명은 거기에서도 인간성을 파괴하기 때문이다. 이 시대의 김 부장들은 어쩔 수 없이 밤마다 홀로 '어둠에 살며시 몸을 기대'어 잠들 수밖에 없다. 이때의 '어둠'은 차라리 위안으로 오는 것이다.
구석본(시인)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7년 만에 악수 나눈 우원식·김정은…李대통령, 禹 통해 전한 메시지는?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고개 숙인 조국혁신당 "성비위 재발 막겠다…피해회복 끝까지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