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부가 논문조작 사태를 야기한 황우석교수의 '1호 최고과학자' 지위 취소 여부를 서울대 징계위원회의 징계 이후로 미룬데 대해 젊은 과학자들이 "이해할 수 없는 처사"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들은 이 기회에 선택과 집중이라는 명분으로 설치한 최고과학자 제도 자체를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과학자 사회의 빈익빈 부익부의 양극화만을 초래하는 부작용을 낳기 때문이다.
앞서 과기부는 황 교수의 소속기관인 서울대 징계위의 최종 징계결과를 지켜보고 난 뒤에 최고과학자 지위철회 문제를 논의하는 게 순리라며 최고과학자 지위철회를 서울대 징계위 이후로 연기하기로 했다. 이는 서울대 조사위의 최종 결과발표가나온 직후인 지난 11일 최고과학자 선정위원회를 열어 황 교수의 최고과학자 지위를취소하려던 당초 방침을 바꾼 것이다. 서울대는 20일께 정운찬 총장이 징계 의결을 요구하는 절차를 밟아 징계위원회를 소집, 오는 26일 1차 회의를 개최할 계획이다.
때문에 황 교수는 서울대 징계위의 최종 징계결정이 내려지는 오는 2월 중.하순까지는 최고과학자 지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해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와 과학갤러리, 과학기술인연합(scieng) 등의 젊은 연구자들은 이해하지 못하겠다는 반응이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7년 만에 악수 나눈 우원식·김정은…李대통령, 禹 통해 전한 메시지는?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고개 숙인 조국혁신당 "성비위 재발 막겠다…피해회복 끝까지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