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핵문제를 둘러싼 긴장이 고조되고 중국의 석유 수요 증가가 예상되면서 뉴욕 원유시장의 국제유가가 배럴당 70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고가로 마감됐다.
1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 중질유 (WTI)는 지난주말에 비해 1.08 달러(1.6%) 상승한 배럴 당 70.40 달러에서 거래가 마감됐다.
이날 뉴욕 원유시장의 마감가는 지난 1983년 NYMEX에서 원유 선물거래가 시작된 이후 가장 높은 것이다.
이날 뉴욕 유가는 한때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멕시코만 일대 석유시설을 강타한 직후인 지난해 8월 30일의 장중 최고치 70.85 달러에서 40 센트 부족한 70.45 달러까지 오르기도 했다.
런던 원유시장의 북해산 브렌트유 역시 사상 최고가인 배럴당 71.62 달러까지 치솟다가 지난주말에 비해 89 센트(1.3%) 상승한 71.46 달러에서 거래를 마쳤다.
원유시장 전문가들은 마흐무드 아흐마디네자드 이란 대통령이 지난주 핵발전소가동에 충분한 우라늄을 생산했다고 주장, 미국에 의한 이란 핵시설 공격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국제유가가 배럴당 70 달러를 돌파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란은 세계 4위의 석유생산국이다.
또 미국에 이어 세계 제2위의 석유 소비국인 중국이 이코노미스트들의 예상 보다 높은 경제성장을 기록, 석유 수요 역시 예상 보다 더 크게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도 유가 상승을 부추긴 것으로 분석된다.
원유시장 전문가들은 특히 ▲이란 핵문제를 둘러싼 긴장 고조 ▲나이지리아의 정정 불안 ▲중국의 소비 증가 ▲미국 휘발유 재고의 감소 등이 겹쳐 유가가 당분간 배럴당 70 달러선에 머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