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부터 본격 시행되고 있는 예비군훈련 인터넷 소집제도에 대한 호응도가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21일 육군에 따르면 예비군훈련 인터넷 소집제도 신청률은 시범실시 첫해인 200 4년 22.8%에서 2005년 36.9%, 2006년 현재 43%로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추세에 있다.
반면 훈련 불참으로 인한 고발건수는 2003년 4만8천766건, 2004년 3만1천669건, 2005년 1만9천871건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예비군훈련 인터넷 소집제도는 예비군훈련 홈페이지(www.yebigun.go.kr)에 공시된 훈련일정을 보고 예비군들이 희망 일자를 선택해 입소하는 제도다.
육군은 2003년 5개 단위부대를 대상으로 이 제도를 시범실시하면서 시스템을 점검한 뒤 2004년 확대 시범실시한 이래 작년부터 전면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 제도는 국민편의를 도모하고 효율적으로 훈련을 관리하기 위해 도입됐다. 과거 우편 소집의 경우 대상자의 일정이 고려되지 않은 채 훈련 일정이 일방적으로 통보된데다 행정이 과다 소요되는 등 문제점이 적지않았기 때문이다. 올해부터는 기본훈련 뿐 아니라 1차 보충훈련, 휴일 예비군훈련까지 확대실시됨에 따라 인터넷 소집훈련 대상자는 모두 236만명에 달하고 있다.
육군은 이 제도를 실시함으로써 우편료와 전화료, 상근예비역 교통비 등 연간 6 2억3천여만원의 예산절감은 물론 예비군훈련 통보 업무를 담당하는 상근예비역의 인력지원 소요도 50%가량 줄이는 효과도 거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터넷 소집제도의 높은 호응도를 반영하듯 예비군훈련 홈페이지 방문자 수는 1 일 평균 5만명이 넘는 등 군 공식사이트 중에서 가장 많은 접속률을 보이고 있다.
육군은 향후 예비군들의 훈련 만족도 평가 시스템 운용 등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개발해 이 제도를 더욱 활성화시킬 예정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7년 만에 악수 나눈 우원식·김정은…李대통령, 禹 통해 전한 메시지는?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고개 숙인 조국혁신당 "성비위 재발 막겠다…피해회복 끝까지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