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동대구IC 용역 학계·시민단체 참여 불투명

동대구 IC 이전과 관련한 기술용역(본지 11일 자 1면 보도)의 비용과 용역 업체 등이 가시화되고 있는 가운데 지역 학계와 시민단체의 용역 과정 참여가 불투명할 것으로 보여 논란이 예상된다.

지역사회와 시민단체들은 용역 과정에서 배제될 경우 결과의 신뢰도가 크게 떨어지는 것은 물론, 건설교통부와 시민단체, ㈜신대구부산고속도로 등 공방 주체들 간에 '책임 떠넘기기'로 번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용역 비용을 부담키로 한 신대구부산고속도로 측은 용역 비용과 대상 업체 등을 내부적으로 잠정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용역 비용을 당초 건교부가 예상했던 수천만 원 규모보다 10배 이상 많은 2, 3억 원대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국책기관인 한국도로교통협회와 다른 민간단체 1곳 등 2곳을 선정, 공동으로 용역 사업을 진행할 것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는 것. 신대구부산고속도로 관계자는 "아직 내부적인 검토 사항일 뿐 결정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며 "건교부와 협의를 통해 9월 초는 돼야 시민단체나 지역 학계 참여 여부 등 구체적인 용역 방법이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대구경실련 등 시민단체들은 지난 12일 건교부에 용역 참여 가능성을 타진하는 질의서를 보낸 상태다. 대구경실련 조광현 사무처장은 "사실 공사비가 문제이지 기술적으로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라며 "시민단체의 참여가 보장되지 않으면 결국 '네 탓' 공방만 벌이다 흐지부지되는 최악의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한 "대구시가 소극적으로 반대 목소리만 낼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 인사들과 시민 참여가 가능하도록 적극적인 역할을 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건설교통부는 시민단체가 참여하지 않더라도 용역 결과의 신뢰도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어서 지역 전문가나 시민단체의 참여가 어려울 전망이다.

건교부는 용역 비용만 민자회사에서 부담할 뿐 전반적인 감독은 정부에서 할 뿐만 아니라 한국도로교통협회라는 공신력 있는 기관이 참여하기 때문에 충분한 공신력이 있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건교부 관계자는 "23일까지 대구 지역 시민단체의 참여 여부를 결정해 통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장성현기자 jacksoul@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