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혈 파리에 의해 감염되는 치명적인 '아프리카 수면병'의 생물학적 베일이 재미 한인과학자가 주도한 연구팀에 의해 벗겨졌다.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기초생물의 과학연구소 폴 잉글룬드 교수팀의 이소희(29·여) 박사는 수면병을 일으키는 기생충이 '지방산(fatty acids)'을 만드는 새로운 생물화학적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박사를 제1저자로 한 이번 논문은 저명과학저널 셀(Cell)지 25일자에 실렸다. 특히 관련 사진은 셀지 표지를 장식했다.
한국 국적의 유학생인 이 박사는 2년 전 고인이 된 이상선 전 한국교원대 생물학과 교수의 딸로, 초등학교 때 미국으로 유학을 가 텍사스대학(생화학)을 졸업한 뒤 존스홉킨스의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아프리카 수면병은 '체체파리' 등의 흡혈파리가 사람과 동물의 피를 빨아들일 때 편모충인 '트리파노소마(trypanosome)'가 몸속으로 들어와 감염되는 질환이다. 흡혈파리에 의해 옮겨진 이 병원체는 벌레나 숙주의 혈관에서 증식하는 방법으로 번식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