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용어 바로쓰기/ '역사비평' 편집위원회 엮음
삼국시대에는 과연 고구려·백제·신라만 있었을까? '을사조약'과 '한일합방'은 공식 조약명칭일까? 한반도의 상황은 '정전'이 맞을까 '휴전'이 맞을까?
우리가 무심코 쓰는 역사용어에는 알게 모르게 용어를 이름 지은 주체와 그 주체의 역사 인식이 녹아 있다. 그런데 이같은 역사 인식에 명백한 오류가 있다면...? 이 책은 바로 이런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잘못 쓰이거나 주체에 따라 달리 쓰이는 40개의 역사용어를 재검토하고 있다.
근대사회로의 전환 과정에서 적합하지 않은 용어가 쓰인 경우, 학문적 검토 없이 잘못된 일상용어가 학술용어로 정착한 경우 등 관용적으로 써온 잘못된 용어 혹은 의미가 탈색되었거나 제대로 알지 못하고 쓰는 역사용어를 짚었다. 또 그러한 역사용어를 엄선해 그 대안은 무엇인지,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역사용어 개념은 어떤 것이 있는지, 어떤 용어들이 논쟁 중에 있는지를 자세하게 풀어 쓰고 있다. 328쪽.1만2천 원.
조향래기자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7년 만에 악수 나눈 우원식·김정은…李대통령, 禹 통해 전한 메시지는?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
與 '더 센 특검법' 법정 녹화 원칙…법원조직법 '정면 배치'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