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가결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포항건설노조가 지난달 사용자 측과 합의한 임단협 잠정안이 부결로 나타나자 사용자 측인 포항전문건설협의회는 물론 포항시민들과 포스코, 포항지역발전협의회, 포항상의 등 관계기관들은 당혹감과 함께 충격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특히 이날의 '부결사태'는 기존의 민주노총 산하 건설노조 외에 최근 설립준비 절차에 들어간 한국노총 산하의 새로운 건설노조 설립을 앞당기는 기폭제로 작용, 노노간 갈등도 심화될 전망이다.
사용자 측은 "장기 파업으로 경영위기에 직면해 더 이상 노조에게 어떻게 해줄 여력이 없다."며 "혹시나 하며 기다렸던 상당수 회사들이 포스코건설과 맺은 계약을 포기할 것"이라며 실망감을 표시했다. 또 포스코 등 기업들은 "앞으로 누가 파업도시 포항으로 투자를 하러 오겠느냐."며 포항의 장래를 걱정했으며 포항시의회도 13일 의장단 간담회 및 전체 의원 긴급 간담회를 잇따라 열어 대책을 의논했다.
시민들의 안타까워하는 분위기도 이어지고 있다.
이성환 포항뿌리회 회장은 "기대했었는데 너무 아쉽다. 앞으로 노조원들이 지혜롭게 판단해 주길 바랄 뿐"이라고 했고 포항상의 김석향 총괄실장은 "노조원들이 포항시민들의 입장을 고려했어야 했는데 자신들의 권리만 앞세운 것이 아닌지 묻고 싶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포스코도 대책수립에 들어가는 등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포스코는 "불법에 대해서는 어떠한 타협도 없다."며 "공사 발주 다변화 등을 모색할 뿐만 아니라 파업중에도 현장으로 출근해 왔던 비노조원들과 출근을 원하는 노조원들을 투입해 대처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편 잠정합의안 부결에도 불구하고 14일 오전 현재 포스코 포항제철소 현장에는 노조원 598명이 출근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파업 이후 가장 많은 인원이며, 비노조원까지 합하면 2천552명이 일하고 있다고 했다.
포스코건설과 포항전문건설협의회는 추석을 앞두고 있는 만큼 노조원 출근은 앞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경찰은 수배된 최규만 포항지역건설노조 직무대행 등 그동안 파업을 주도하거나 적극 가담한 12명의 노조원들에 검거에 나섰다. 또 포스코 본사 점거 이후 구속됐던 68명의 노조원 중 12명은 13일 법원의 보석으로 풀려났다. 포항 최윤채·박정출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