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대외채무가 지난 2/4분기 중 261억 달러 증가한 데 비해 대외채권은 141억 달러 늘어나는데 그쳐 순채권이 120억 달러 감소했다.
이에 따라 단기 대외지급능력을 나타내는 유동성 지표가 비교적 큰 폭 상승했으나 정부는 이를 기업들의 환변동 위험 헤지의 영향으로 분석하고 유동성 지표는 여전히 안정적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22일 재정경제부에 따르면 지난 2분기 말 현재 우리나라의 대외채무는 2천293억 달러, 대외채권은 3천362억 달러, 순채권은 1천69억 달러로 집계됐다.
지난 1분기 말에 비해 대외채무와 대외채권은 261억 달러와 141억 달러 늘어난 반면 순채권은 120억 달러 줄어든 금액이다.
대외채무 중 장기외채는 1천347억 달러로 3개월 전에 비해 60억 달러 늘어났으나 단기외채는 946억 달러로 201억 달러나 급증했다.
재경부는 단기외채 증가에 대해 2분기 중 외환시장에 원·달러 환율절상 심리가 팽배해 수출대금을 장기로 받는 조선업체 등을 중심으로 한 국내 수출기업들이 환율추가 하락을 예상해 역외선물시장에서 선물환 매도를 늘린 영향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7년 만에 악수 나눈 우원식·김정은…李대통령, 禹 통해 전한 메시지는?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
與 '더 센 특검법' 법정 녹화 원칙…법원조직법 '정면 배치'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