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최대 명절인 한가위를 맞아 반가운 친지들이 모처럼 한자리에 모이지만 배우자에 대한 배려와 이해가 부족할 경우 자칫 명절이 파경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 판례를 통해 확인됐다.
6일 대법원에 따르면 '명절 스트레스'가 부부간 갈등을 격화시켜 이혼으로 연결된 사례가 최근 적지 게 발생했다.
1984년 결혼한 김모씨 부부는 올 5월 서울가정법원에서 13년간의 단란했던 결혼 생활을 마감했다.
남편 김씨 집안의 맏며느리였던 아내 이씨는 명절이나 제사 때가 돌아오면 음식을 차리고 궂은 일을 해야 한다는 생각에 늘 스트레스를 받았다.
그래서 최근에는 명절이 돌아와도 시부모 댁으로 잘 가지 않았고 가더라도 음식 준비가 다 끝날 무렵 빈손으로 들르곤 했다.
김씨는 이런 아내의 태도에 항상 불만이었고 이를 계기로 이후에는 아내의 일거수 일투족이 마음에 들지 않았다.
남편과 아내는 사소한 문제로 자주 다퉜고 결국 법원에서 이혼에 이르렀다.
결혼한 지 15년이 된 K(여)씨도 맏며느리여서 혼인 이후 명절 때마다 시댁에 가느라 친정에 가지 못하는 것이 불만이었다.
의무만 강요당한다고 생각하고 있던 K씨는 2002년 추석 때 동서는 친정으로 가고 자신 혼자 집안일을 하게 되자 기분이 크게 상했다.
이러던 참에 시어머니, 시누이와 말다툼을 벌였고 여기에 남편까지 가세해 '집안 분위기를 망쳐놓는다'며 자신을 질책했다.
화가 난 K씨는 이듬해 집을 나와버렸고 결국 두 사람은 2004년 합의이혼했다.
서울에 사는 이모씨는 지난해 2월 설 명절 기간에 다른 형제들이 집에 찾아오지도 않고 제사도 제대로 지내지 못했다는 이유로 화가 나 가족 4명이 사는 자택에 불을 질렀다가 징역 1년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대구에 사는 이모씨는 2000년 부인의 친정에서 제사를 마치고 음복을 한 아내가 술을 마시고 행패를 부린다는 이유로 심하게 폭행했다가 경찰 조사를 받고 기소되기도 했다.
이 밖에도 '교회에 다닌다는 이유로 제사를 거부해 가족의 따돌림을 받았다', ' 제사를 지낼 때나 성묘를 갔을 때 다른 가족이 있는 자리에서 모욕감을 주는 언사를 했다'는 등의 사유가 원인으로 작용해 법원에서 합의이혼하는 사례가 있었다.
전문가들은 "남녀 모두 배우자에게 건네는 따뜻한 말 한마디와 여성들도 함께 즐거운 명절이 되기 위한 가족간 대화, 가사노동을 분담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7년 만에 악수 나눈 우원식·김정은…李대통령, 禹 통해 전한 메시지는?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고개 숙인 조국혁신당 "성비위 재발 막겠다…피해회복 끝까지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