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핵실험 강행으로 북미간 양자회담 배제를 골간으로 한 조지 부시 대통령의 대북 정책 전반에 대한 비판론이 고조되고 있다.
한반도 전문가와 미국 의원들 일부는 10일 부시 정부의 강경 일변도의 대북 정책이 김정일(金正日) 위원장을 '핵도박'으로 갈 수 밖에 없도록 압박한 측면이 적지않다면서 대북정책의 전면 대수정을 요구했다.
북미간 직접대화 지지자들은 과거 옛 소련과 중국이 지난 1949년, 1964년 각각 첫 핵실험에 성공했을 때도 당시 미 정부는 이들과 외교관계와 비상 대화통로를 유지해온 반면 부시 행정부는 지금 북한과 직접적인 대화창구를 끊어버려 상호 불신의골이 깊어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김 위원장 등 북한 지도자들이 미국 정책에 대한 신뢰할 만한 직접적인 정보가 없기 때문에 미국의 의도에 대한 의구심과 불안, 망상증이 극단적으로 고조되도록 만든 측면이 강하다고 지적했다.
도널드 그레그 전 주한미대사는 "지금 전세계에서 여러 어려움을 맞고 있는 이유들 중 하나는 부시 행정부가 외교를 '착한 행동'(good behabior)에 대한 보상쯤으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미국은 지금 친구들과만 대화를 하고 있다"고 정면 비판했다.
민주당 2008 대선 예비주자들 중 한명인 러스 페인골드(위스콘신) 의원도 "북한핵실험은 부시 정부의 대북 불간섭주의식 접근의 위험성을 적나라하게 보여준 것"이라고 비난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7년 만에 악수 나눈 우원식·김정은…李대통령, 禹 통해 전한 메시지는?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고개 숙인 조국혁신당 "성비위 재발 막겠다…피해회복 끝까지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