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 후 인간은 지금보다 수명이 40%쯤 늘어나고, 닥터 두리틀처럼 동물과 대화를 나눌 수 있게 된다. 인류는 마침내 외계 생명체를 찾아내고, 과학자들은 우주의 기원인 빅뱅의 신비를 푼다. 이것은 과학자들이 예상하는 2056년의 세상이다. 영국의 과학잡지 뉴사이언티스트 18일자 최신호는 창간 반세기를 맞아 40명이 넘는 저명한 과학자들에게 50년 후 세상에 대해 가상 시나리오를 주문했다.
뉴사이언티스트의 질문에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의 대니얼 폴리 교수는 50년 후에는 원숭이, 물고기 등 다양한 동물의 감정을 눈치채고, 해석할 수 있는 장치들이 개발될 것이라고 대답했다.
그는 처음에는 영장류, 다음 포유류, 그 다음 물고기를 포함한 척추동물의 순으로 동물의 감정과 생각을 알아내고 증폭해서 우리에게 전송해주는 장치가 개발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로 인해 전 세계 사람들은 모든 종류의 동물을 먹는 데 혐오감을 느끼게 되고, 결국 모두 채식주의자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 항공우주국(NASA) 우주과학부의 크리스 맥케이는 "아주 오래된 화성 동토층이나 목성의 위성 유로파 표면에서 외계 생물체의 증거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혹은 여기 지구에서 외계 생물체의 형태들을 찾아낼 수도 있을 것이다."고 전망했다.
의학 분야에서는 이식용 장기가 무제한 공급될 수 있는 시대가 열릴 것이다. 미 시카고대학의 브루스 란 교수는 인간 세포로 만들어진 장기를 돼지 같은 동물의 몸에서 키울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필라델피아에 있는 위스타 연구소의 엘렌 허버-카츠 교수는 신체 재생 효능을 가진 약이 나와 몸이 쇠약해진 사람은 정기적으로 인체를 건강한 상태로 정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친 손가락과 발가락을 다시 자라게 하는 치료법이 먼저 개발된 다음 팔과 다리, 척수의 부상을 복구할 수 있는 기술도 개발된다. 사지마비 환자는 이런 의학기술의 덕에 마라톤을 뛸 수 있게 된다고 과학자들은 상상했다.
미시간대학의 리처드 밀러 교수는 "이제 실험실에서 포유동물의 수명을 40%쯤 늘리는 것은 쉬운 일이 됐다."며 "2056년쯤에는 오늘날 60대 노인처럼 정력적이고 생식력 있는 100세 노인 그룹이 생겨날 것"이라고 기대했다.
런던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