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썩은 달걀처럼/빈 깡통처럼/툭!/차버리면/얼마나 상쾌할까/이 놈의 지구/내 삶의 시청률은 얼마나 될까/앞에도 없고/뒤에도 없다/앞에도 있고/뒤에도 있다'('호접몽')
한광섭(사진) 삼성 기획전략실 상무가 최근 두 번째 시집 '미운이 누구냐고'(천우 펴냄)를 펴내 화제다.
'살벌한' 풍토의 대기업의 '핵심 간부'가 시집을 낸 것이 이색적이다. 한 상무는 "문학적 소양은 이제 사회적 리더가 갖추어야 할 필수조건"이라고 했다.
한 상무는 지난 1986년 삼성그룹에 입사해 20년 넘게 홍보 및 광고에서 두각을 나타낸 '광고맨'이다. '우리의 대표 브랜드, 삼성'과 '함께 가요 희망으로'가 그의 손을 거친 작품들이다.
시에 관심을 가진 것은 고교 1학년 때. 그때 처음 습작을 한 이후 꾸준히 시를 써오고 있다.
지난 2001년 월간 '문학세계'를 통해 시인으로 등단했다. 필명은 '한온(寒溫)'이다. 시 '호접몽'처럼 대척점을 통해 문학적 은유를 보여주는 필명이다. 차가운 곳에서 본 따뜻함이랄까, 아니면 그 중간에 제자리를 잡겠다는 뜻일까.
등단 후 20대부터 써 온 시를 묶어 2001년 첫 번째 시집을 냈다. '그 시간들의 풍경'(천우 펴냄). 30년 가까운 시작(詩作)의 또 다른 출발점인 셈이다.
"두렵고 떨렸지만, 내 시집을 사는 사람이 있다는 것이 어느 순간보다 뿌듯했습니다."
두 번째 시집은 20대의 거친 욕망에서 한층 순화된 느낌이다.
'억겁의 빛에서/바람 일렁거리고/시간의/잔해들이 끝없이 쌓여간다/...'(업.1) '너를 다 태워/빛으로 사라지지 마라/그냥/오롯이 양초로 있어 다오/눈부신 네 모습에/나는 너를 볼 수가 없다/...'('양초') 등 일상에서 본 대상물들에 대한 따뜻함과 성찰이 잘 묻어난다.
한 상무는 "감각에만 매달린 현대 젊은이들도 시의 정서를 잘 이해하기를 바란다"며 "그렇게 문학의 저변이 확대돼 직장인이 시를 쓰는 것도 생소하게 비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했다.
김중기 기자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7년 만에 악수 나눈 우원식·김정은…李대통령, 禹 통해 전한 메시지는?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고개 숙인 조국혁신당 "성비위 재발 막겠다…피해회복 끝까지 노력"